들을 종합하고 앞으로 언급할 도산십이곡과의 관계를 생각해봤을 때 강호가도의 개념을 “강호자연에 은거하면서 스스로를 성찰하고 그 속에서 자연미를 발견하고, 심성을 닦으면서 즐기는 삶 ... 을 그리는 것”이라고 보는 것이 좋을 듯하다. 이는 강호가도에 한 몫을 차지했던 18세기의 경정산 가단의 중인 계급을 포괄하기에는 미흡한 점이 있으나 여기에서는 도산십이곡과 강호가도 ... 중요한 시조 작품의 하나이다. 작자의 비중에서부터 문제가 된다. 작자 퇴계가 한국 사상사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크기 때문이다. 도산이야말로 조선조 성리학의 대가일 뿐 아니라 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