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원(書院)과 사우(書院)【목차】1. 머리말2. 서원(書院)1) 서원의 발생2) 서원의 역할3) 서원의 시설4) 유명 서원3. 사우(書院)1) 사우의 설립2) 사우의 건립주체3 ... ) 사우의 구성과 배치4. 맺음말5. 참고문헌1. 머리말조선조의 서원은 선현(先賢)?선사(先師)를 봉사하는 사(祠)와 사제를 교육하는 재(齋)가 결합되어 이루어진 것이다. 따라서 ... 서원의 태동단계에서는 서원과 사우의 존립 목적과 기능이 크게 구별되는 것이었다. 사우는 처음부터 사현(祀賢)과 풍화(風化)만을 목적으로 한 것이었다. 그것은 충절인의 공덕을 기리
는 강한 비판정신을 일으켰으며, 그의 제자들{ 〈덕천사우연원록(德川師友淵源錄)〉에 의하면 남명의 직전 제자의 수만 하더라도 136명이고 사숙한 제자는 162명에 이른다고 한다.로 하여금 ... (講學)에 힘썼다. 그리고 그의 사후인 1576년 그의 제자들이 덕천(德川)의 산천재 부근에 덕천서원(德川書院)을 건립한 데 이어 그의 고향 삼가현에 회현서원(晦峴書院) 뒤에 용암
의 서재를 의미하는 것이었다. 그러다가 송나라 초에 서원의 정형적인 양식으로 백록, 악록, 응천, 숭앙 서원이 생겨 서원제도가 정착하게 되었다.우리나라에서 서원의 명칭은 신라 말기 ... 의 연원은 고려조의 사묘와 서재까지 관계가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선사, 선현을 봉사하는 사 와 자제를 교육하는 재 가 결합되어 이루어진 것이 서원이라는 것이다.(2) 서원 ... 교육기관으로는 서원, 서재, 정사 등과 사우, 향현사, 향사, 사, 이사, 영당, 별묘, 세덕사, 유애사, 생사당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을 통칭하여 서원과 사우로 명칭하고 있
이정본에서는 편년등의 내용이 추가되고 『학기유편』과 〔신해사우연원록〕까지 포함한 이정합집본이 간행되기도 하였다. 현재의 옥판은 중간본 계통의 최후 간행본으로 185매로 된 6책 ... 덕천동[지금의 산청군 시천면]으로 이거하여 산천재를 지어 죽을 때까지 그곳에 머물며 강학에 힘썼다.66년 상서원 판관을 제수받고 왕을 만나 학문의 방법과 정치의 도리에 대해 논하 ... 을 극렬히 지적한 것으로 유명하다.그의 사후인 76년 그의 제자들이 덕천의 산천재 부근에 덕천서원을 건립한 데 이어 그의 고향 삼가현에 회현서원을, 78년에는 김해에 신산서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