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3), 두만강 방면의 여진족 추장인 니탕개(尼湯介)가 쳐들어와 함경도 경원(慶源)이 함락되기도 하였다. 이 때, 육진(六鎭) 지방이 잠시 위태로웠으나 당시의 온성부사(穩城府使 ... 이 보통 10명 내였으나 점점 늘어나 후기로 갈수록 늘어났다. 사행의 인원은 사행의 종류에 따라 달랐으나, 대부분 사(使) 2인(正副 각 1인), 서장관 1인, 대통관 3인, 압물관 ... ) 신립(申粒)의 전공(戰功)으로 난은 평정되어 육진이 보전될 수 있었다.10) 일본과의 대외관계조선 초기 세종 초기까지, 조선과 일본의 무로마치 막부(室町幕府)와의 국교를 체결
으로 판단 된다.승자총통은 선조 초 경상병사를 역임한 김지(金?)가 창제하여 선조 16년(1583)년 일어난 니탕개(尼蕩介)의 난 때에 신립(申砬)이 적을 토벌하는 데에 크게 공헌 ... 시키며, 포탄은 화전처럼 날아가는 대장군전으로, 그 무게가 30 kg이나 되며, 길이는 180cm 나 된다. 사정거리는 960m이다. 또한 세종 7년(1425)경에 철탄자가 개발
으로 본다.본 론제 1 절 천인무과와 신분변동조선전기에는 공사천의 무과응시가 원칙적으로 금지되어 있었으나, 세조 대의 북정과 이시애의 난 및 선조 대의 尼湯介(니탕개)의 난을 계기 ... 천이 군역에 편제되는 대가로 종량하면 그 본주에게는 許通(허통), 免賤(면천), 軍功補官(군공보관) 등의 방법으로 보상하였다.세조대 북정과 이시애의 난 및 니탕개의 난 등 국가 ... 의 을묘왜변과 선조 16년에 일어난 이탕개의 난을 계기로 서역과 공사천의 군역 편입이 실현되었는데, 당시 鎭管制(진관제)가 制勝方略制(제승방략제)로 전환되었던 군사제도의 전술적 변화
을 거쳐 도총부도사(都摠府都事)·경력(經歷)을 지내고 진주판관(晉州判官)이 되었다. 1583년 온성부사(穩城府使)가 되어 북변에 침입해온 이탕개(尼湯介)를 격퇴하고 두만강을 건너가 ... 았기 때문이다. 나의 영웅, 그리고 우리의 영웅이 완벽한 존재이기를 바라면서도 나와 같은 생각을 하는 인간이기를 바라는...1. 어째서 신립인가?임진왜란은 천 여 년간 미개한 소국(小國 ... 들은 흔히 자기자신은 고매한 인격체가 아니라는 것을 알고, 다른 사람들 또한 그럴 수 없다는 것을 알고 있으면서도 나의 우상은 도덕적으로 또는 모든 면에서 완벽하기를 바라는 이중적인 심리
으로 본다.본 론제 1 절 천인무과와 신분변동조선전기에는 공사천의 무과응시가 원칙적으로 금지되어 있었으나, 세조 대의 북정과 이시애의 난 및 선조 대의 尼湯介(니탕개)의 난을 계기 ... 천이 군역에 편제되는 대가로 종량하면 그 본주에게는 許通(허통), 免賤(면천), 軍功補官(군공보관) 등의 방법으로 보상하였다.세조대 북정과 이시애의 난 및 니탕개의 난 등 국가 ... 의 을묘왜변과 선조 16년에 일어난 이탕개의 난을 계기로 서역과 공사천의 군역 편입이 실현되었는데, 당시 鎭管制(진관제)가 制勝方略制(제승방략제)로 전환되었던 군사제도의 전술적 변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