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통합검색(23)
  • 리포트(22)
  • 시험자료(1)
EasyAI “능엄경언” 관련 자료
외 5건 중 선별하여 새로운 문서 초안을 작성해 드립니다
생성하기
판매자 표지는 다운로드시 포함되지 않습니다.

"능엄경언" 검색결과 1-20 / 23건

  • 중세국어의 특수어간 교체에 대하여
    (他物)녀느 아니라(능엄경언해)녀느 롱(월인석보)주격년기(용비어천가)대격년글(용비어천가)불무(冶)불무 치(훈몽자회下)처격붊긔(원각경언해上)대격붊글(개간본 두시언해)지정붊기라(남명집 ... (용비어천가)대격놀ㅇㆍㄹ(용비어천가)ㄴㆍㄹㆍ(津)광 ㄴㆍㄹㆍ 廣津(용비어천가)ㄴㆍㄹㆍㅅ머리 津頭(두시언해)처격ㄴㆍㄹㅇㆎ(월인석보, 능엄경언해)대격놀ㅇㆍㄹ(두시언해)지정ㄴㆍㄹ이 ... (두시언해)여ㅿㅡ, 여ㅿㆍ(狐)여ㅿㅡ(훈몽자회上)여ㅿㆍ(사공동격여ㅿㆍ와(두시언해)주격ㅇㅕㅿ이(능엄경언해)ㅇㅕㅿ의(훈민정음해례)ㅇㅕㅿㅇㆎ((능엄경언해)때때로 다음과 같이 종성의 ‘ㅿ
    리포트 | 5페이지 | 1,000원 | 등록일 2021.05.14
  • 훈민정음연구 기말고사문제 요약
    하고, 한글로 구결을 달고 난 후에 국한문으로 언해하는 형태로 풀이한 능엄경언해와 같은 책을 통해 일반 백성들이 한문을 잘 모르더라도 언해문을 통해서 원문을 이해할 수 있게 되고, 한문 ... 고 씩씩해 가을에 해당 글자 왼쪽 1입성 - 빠르고 막혀 겨울 해당예의 부서법초성이 아래 : ‘ ㅡㅗㅜㅛㅠ'초성이 오른쪽 : ‘ㅣㅏㅓㅑㅕ‘중성 둥글게 : ㅡㅗㅛㅜㅠ『삼강행실 언해서
    시험자료 | 4페이지 | 1,500원 | 등록일 2020.01.02 | 수정일 2020.10.27
  • 방통대 국어사_능엄경언해의 서지적 특징과 국어사적 특징
    론 ..................................................................................................... 1II. 『능엄경언해』의 간행 배경 ........................................................ 1III. 『능엄경 ... 언해』의 국어사적 특징 ............................................. 2IV. 『능엄경언해』의 서지적 특징1. 표기법의 특징 ... 을 한글로 번역하는 일을 말한다. 『능엄경언해』는 불교경전 『능엄경』을 번역한 책으로 원제는 《대불정여래밀인수증요의제보살만행수능엄경(大佛頂如來密因修證了義諸菩薩萬行首楞嚴經)》이
    리포트 | 6페이지 | 1,500원 | 등록일 2008.04.07
  • 후기중세국어자료
    다. 두 번째로는『능엄경언해』로 송나라의 계환이 주해를 단 능엄경에 세조가 구결을 달고, 한계희, 김수온 등이 신미의 도움을 받아 번역한 책이다. 간경도감에서 간행된 최초의 불경 언 ... 해서로, 뒤에 나오는 불경 언해서에 대해 형태, 번역 양식, 정서법 등의 규범이 되었다. 세 번째는『법화경언해』이다. 이 책은 법화경에 세조가 구결을 달고 간경도감에서 번역한 것 ... 으로, 체제와 번역 양식이 『능엄경언해』와 비슷하다. 네 번째는『선종영가집언해』로, 당나라의 승려 현각이 짓고, 송나라의 행정이 주를 달고 정원이 수정한「선종영가집」에 세조가 구결
    리포트 | 3페이지 | 1,000원 | 등록일 2010.12.15
  • 사동법
    .는 통사적 방법으로 ‘앉다’ 동사의 사동법이 실현됨예) ② 가. 흐린 므를 ?교?〔?-이-오-?〕??니 잇? 그르세 ???니 (능엄경언해 4:89)나. 므레 ?마 ?-게 ?-야 ... ](용비어천가 20)마. 녹다→녹-이-다두려이 노겨[녹-이-어] 비?유미 (능엄경언해 2:18)바. ?다→?-이-다마초아 ?교리라[?-이-오-리-라] (능엄경언해 2:87)♣‘-히 ... 은 모매 文 도틸[돋-히-ㄹ] 씨오 (법화경언해 5:14)다. 잡다→잡-히-다제 法에 상녜 門 자펴[잡-히-어] 두고 (월인석보 10:25)라. 긁다→긁-히-다아?로 훤히 둥어리 글키
    리포트 | 7페이지 | 1,000원 | 등록일 2010.12.24
  • 중세국어의 부정법
    와 이슬로 ?여 사?미 오? 저지게 마롤 디니라 (두시언해 44장)(나) 議論 ?디 마? 디어다 (능엄경언해 42장)(다) 말라 말라 다시 니르디 마라? ?리니 (석보상절 44장)(15 ... 邪애 즐어 디디 마오져 ?라미오 (법화경언해 155장)(나) ?디디 마와뎌 ?라노라 (능엄경언해 113장)현대국어의 ‘비가 오지 말기를 바란다’와 같은 용법을 표시하는데 이런 경우에다. ... )은 체언(명사)부정문이다.(1)(가)“이? 우리 허므리라 世尊ㅅ 다시 아니시다??다” (법화경언해 권2, 5장)(나)妙法이 둘 아니며 세 아닐? (석보상절 권13, 48장)(다)오
    리포트 | 7페이지 | 1,000원 | 등록일 2010.12.05
  • [불교][삼국시대 불교][남북국시대 불교][고려시대 불교][조선시대 불교][현대시대 불교]삼국시대의 불교, 남북국시대의 불교, 고려시대의 불교, 조선시대의 불교, 현대시대의 불교
    →구곡각운→정심등계→벽송지엄→부용운선영관→선화자 일선→청허휴정지엄 : 일찍이 북방의 야인을 토벌할 때 종군, 28세 때 출가. 衍熙로부터 ?능엄경? 수학, 正心으로부터 인가. 문하 ... 의 당호. 제자가 應祥. 應祥의 문하에 명조?쌍언?천오 등명조→ 정묘호란과 병자호란 때 전공② 鞭羊派 : 彦機의 호. 서산문하에서 이 언기의 후손이 가장 盛. 법을 이은자는 義諶. 이외
    리포트 | 14페이지 | 6,500원 | 등록일 2013.03.30
  • 후기 중세국어
    15.21)▶ ‘-브터’- 목적격을 지배한 경우는 원인의 의미를 나타냄.므스글브터(因何, 능엄경1.103)- 도구격을 지배한 경우는 출발점을 나타냄.녜로브터(두시언해20.54) ... 뒤에 연결될 때는 ‘까지, 마저’의 의미를 지님.불휘조차 ?니라(금강경삼가해2.50)- 목적격조사 뒤에 연결될 때는 ‘동반’의 의미를 지님.??? 微妙?조차 ?고미 니러(능엄경2 ... 버릇 업?던 일? 魔王이 뉘으츠니?다(월인천강75); 如來 ??오리라(능엄경1.37); 人心이 굳??니(용가66); 뫼만? 은이 므거우시고 터력만? 히믄 적?오니(상원사 권선문
    리포트 | 18페이지 | 2,000원 | 등록일 2009.02.12 | 수정일 2016.12.10
  • 중세국어의 연결어미
    주그며 나곡 나(死死生生, 능엄경 4.30)' ④ '-곰': ' 부체 다니  부체 열이곰 (월인석보 7.9)' '한 문짝을 닫으니, (다른) 한 문짝이 열리곤 하 ... Ⅰ. 연결어미란?문장과 문장을 연결하거나 본용언과 보조용언을 연결하는 어미 대등적 연결어미: '-고, -며, -며셔, -나, -건/언/난마, -거니와, -거나' 2. 종속
    리포트 | 11페이지 | 1,500원 | 등록일 2009.06.11
  • 중세국어 음운- 소실문자를 중심으로
    ?시니 (잡아당기시니 : 용비어천가 87장)두루? (돌이키- : 월인석보 2:61)두리?씨( 드리끌므로 : 능엄경언해 4:25)3) ㆀ① 명칭 : 쌍이응② 음가 : ‘ㅇ’의 된소리가 아니라 긴장 ... 된다.⑤ 용례 : 셔블(서울 :용비어천가 18장, 37장)??ㅿㅏ(혼자 :용비어천가 35장, 37장)어드븐(어두운 :용비어천가 30장)갓가블(가까울 : 월인석보 서 제3장)열븐(엷
    리포트 | 6페이지 | 1,500원 | 등록일 2010.05.30
  • 한국어 조사의 통사적 연구
    )② 赤心?로 처? 보샤(용비어천가 78)시간한정 : 로① ?로 變?며 ... ?로 化?며 ... 날로 옮나니(능엄경언해 2-7)동반 : 과/와① 스?과 ?? 나?니(법화경언해 3 ... 人矣 ?口 (右人의, 고려말호적문서)나. -ㅅ① 蓬次叱 巷中 宿尸 夜音 有叱下是(다봊ㅅ, 모죽지랑가)② 菩?? 功德(菩?ㅅ, 화엄경 14:14)(4) 처격 조사가. -아① ?京明期 ... -?① 蓬次叱 巷中 宿尸 夜音 有叱下是(굴헝긔, 모죽지랑가)② 作作?中 ?在之(作作?긔, 화엄경사경조성기)라. -아?,-여긔① 千手?音叱 前良中(앒아ㅈ?, 도천수관음가)② ?兜寺良中
    리포트 | 17페이지 | 3,000원 | 등록일 2009.05.28
  • 월인석보의 문헌적 특징
    ) ~ 너를(월인석보 8-98)/너?(능엄경언해 1-90)* 아???(용비어천가 51) ~ 업수?(월인석보1-50)라. ‘ㄹ’ 탈락(어간말 ‘ㄹ’이 ‘ㄴ. ㄷ, ㅿ, ㅅ, ㅈ’ 앞 ... 희 힘? ?? 이기시니* ㄱ. 어듸? 우리? 이긔료 ,ㄴ. 싸홈 이기다 ?논 마리니 (···) 싸홈 이기시니라 현전본 월인석보는 모두 ‘이긔-’만을 보여 준다. 능엄경언해, 법화경 ... 근본적인 이유를 찾을 수 있다.우리국어로 쓰인 古傳作品들을 읽고 올바르게 이해하여야 하지만, 그것을 쉽게 받아들이지 못하는 것이 현실이다. 15세기의『월인석보』나 그 많은 언해서
    리포트 | 23페이지 | 2,000원 | 등록일 2007.03.08
  • 중세국어와 근대국어의 특성 비교론 -응운, 자료, 어휘, 표기 면에서
    다룬다1. 석보상절 (1447년) 2. 월인석보(1459년) 3. 능엄경언해(1461)4. 법화경언해(1463년) 5. 금강경언해(1464년) 6. 반야심경언해(1464년)7 ... 언해서가 주종을 이룬다. 그런데 「석보상절」이나 「월인석보」와 같이 그 언해의 저본이 되는 한문본이 현재로서는 따로 존재하지 않는다고 하더라도 이들도 불교 관계 언해 자료와 함께 ... . 상원사어첩,상원사중창권선문(1464년) 8. 선종영가집언해(1464년)9. 아미타경언해(1464년) 10. 원각경언해(1465년) 11. 목우자수심결(1467년)12. 몽산법어언해
    리포트 | 25페이지 | 3,000원 | 등록일 2008.02.06
  • [국어학]이두와 향찰의 비교
    에 따라 순서대로 읽어가기 때문에 순독(順讀)구결이라고도 한다.15세기 이후 등장한 음독구결 표기법은 능엄경언해(楞嚴經諺解)에 가장 먼저 나타난다. 이때 사용된 토는 한글 구결임 ... 을 알 수 있다. 능엄경언해는 구결이 달린 본문을 큰 글자로 먼저 싣고, 직역된 번역문을 작은 글자로 덧붙였다.如來ㅅ 果體다 其體ㅣ 本然커시니... 구결에는 정자(正字)구결이 있 ... {이두1 남산신성비(南山新城碑)서기체 표기에 조사와 어미를 차자 표기하는 이두(吏讀)는 대략 7세기경에 완성된 것으로 본다. 이는 남산신성비와 화엄경사경조성기 등에서 쉽게 찾아볼
    리포트 | 7페이지 | 1,500원 | 등록일 2005.12.14
  • 표준중세국어문법론
    음.③언해자료 : 한문이나 중국어의 원문을 앞세우고 이를 한글로 번역. 세 부류가 있음?구결문과 언해문이 짝을 이루는 것 - 훈민정음언해, 석보상절 서, 월인석보 서, 능엄경언해 ... 한 환경에서 ‘아.오’로 교체되는데 언해문이 짝을 이루는 것은 다른 언해자료와 성격을 달리하는 면이 많다.-의문보조사 ‘가/고’가 언해문에 나타나는 경우①이 ?리 너희 죵가 / 이
    리포트 | 6페이지 | 1,500원 | 등록일 2008.10.20
  • [국어사]한글 맞춤법의 역사
    설명에서 보게 된다. 이것은 음절말 위치에 올 수 있는 자음의 제약이란 음운 현상에 말미암는다.이러한 맞춤법은 15세기 후반기의 한글 문헌에 나타나 있다. 『석보상절』과 『능엄경언해 ... 』를 비롯한 간경도감의 언해서가 그 전형적인 실례를 보여준다. 그리하여 받침에는 이른바 8종성만이 나타나며, 그들 사이에는 엄격한 구별이 있다. 또 15세기에 들면서 혼란되기 시작
    리포트 | 5페이지 | 1,000원 | 등록일 2006.10.29
  • [한국어문법]한국어문법사(사동사)
    의 사동법이 실현됨예② 가. 흐린 므를 ?교?〔?-이-오-?〕??니 잇? 그르세 ???니 (능엄경언해 4:89)나. 므레 ?마 ?-게 ?-야 (월인석보 10:119)가.는 파생적방법 ... ? 기피다請?야 宮中에 드르샤 北丘란 노피 안치시고[앉-히-시-고] 王? ?가? 안?샤 (월인석보 8:90)나. 돋다→돋-히-다文身은 모매 文 도틸[돋-히-ㄹ] 씨오 (법화경언해 5 ... ⑧ 가. 일다→일-우-다太子 ㅣ 道理 일-우-샤 (석보상절 6:5)나. 메다→메-우-다?지고 壯코 힘 하며 양? 고?니로 寶車 메-우-고 (법화경언해 2:140)다. 오?다→오?
    리포트 | 6페이지 | 1,000원 | 등록일 2006.06.18
  • [국어사] 중세국어자료정리
    년 간경도감에서 간행하였다. 이리하여 이 목판본이『능엄경언해』의 定本이 되었고 활자본은 대부분 거두어서 교정하거나 인쇄한 쪽지를 덧붙여 목판본과 통일을 기하여 현존하는 활자본 ... 으로 추정된다. 책의 체재와 번역 양식 등은 전적으로 목판본『능엄경언해』에 일치하고 있다. 현재 많은 책이 전하고 있으나 대부분 복각본이다. 복각본은 판심제를 약자로 표시하는 등 조잡하기 ... 은 거의 모두 그러한 수정을 갖고 있다. 권 3, 4권을 제외하고는 전하고 있다. 간경도감에서 간행된 최초의 불경 언해이기 때문에 뒤에 나오는 간경도감의 불경 언해서에 대하여 책의 형태
    리포트 | 6페이지 | 1,000원 | 등록일 2003.07.01
  • [식문화론] 사찰음식의 관광상품화 방안
    이 일어나게 되고 날 것으로 먹으면 성내는 마음이 더하기 때문이라고 능엄경에서 설파하고 있다.그렇다면 현재처럼, 순수 채식 사찰음식문화는 언제부터 형성되기 시작하였을까?기원 1세기 ... 전후로 태동하기 시작한 이른바 대승 불교가 흥기하면서 부터였다. 열반경, 능가경, 범망경, 능엄경 등 수많은 대승경전에서 육식과 오신채(파, 마늘, 달래, 부추, 흥거)를 금하 ... 으며 종신토록 복용할 수 있는 것으로 약용의 과일 즙이나 후추, 생강, 소금류 등이다. 기한의 한정 없이 언 제든지 가지고 있어도 좋은 현대적 의미의 약이 바로 이 것이다.여기
    리포트 | 20페이지 | 1,500원 | 등록일 2003.08.09
  • [국어국문학(방언학)] 제주방언
    ) ?기(훈몽자회 상:6 딸기)>탈, ?-(능엄경언해 9:53 짜다)>?다[어간말의'l'첨가] 제주 방언에서 모음으로 끝나는 체언 어간은 한자어 및 기원적으로 종성을 가졌던 것을 제외 ... .를 경험했다.예) ‘ㅸ>W‘ -사?(훈민정음 해례:25 새우)>새위대?(용비어천가 5:26 대받)>대왓‘ㅿ>?’ - 마?(월인석보 2:41 마흔)>마은??(법화경언해 2:89감 ... 보고 사랑하려고)■ 종속접속 ‘-으멍(동시), -으난(이유), -으민(조건), -으레(목적), -아사/ 어사(필연)’, ‘-단, -젠, -안/ 언’으멍 : 고만히 생각호멍 들
    리포트 | 9페이지 | 1,000원 | 등록일 2005.03.17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51 오후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