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오타르], 숭고와 아방가르드? 숭고고대 수사학에서 최초로 나타났으며, 문화적으로 근대 정신의(버크와,칸트의이론) 산물을 말한다. 고대 후기 로마의 수사학자인 롱기누스에 의해 ... 적 묘사 (리오타르의 숭고론)"계시"를 말하는 뉴먼의 예술론('Sublime now')과 그의 다양한 예술실험에서 리오타르는 새로운 미학의 단초를 찾는다. 그리고 이로써 19세기 ... 에서는 "침묵"을 숭고의 수사(修辭)로 제시한 롱기누스, 헤브라이즘에서는 '형상을 만들지 말라'고 명한 구약성서의 '형상금지'(Bildverbot)의 계율로 거슬러 올라간다.'미
에 있어서Barnett Newman , 영웅적 장엄함을 향하여, 1950-51리오타르가 주목한 바넷 뉴먼, 마크 로드코 등 1940년대 후반부터 1950년대까지 이어진 미국의 색면 ... 웅으나 고대 롱기누스의 『숭고론』에서 고찰 이후 18세기 이전에는 거의 대두되지 않은 가치였다. 미의 한 변종에 불과했던 숭고는 브왈로, 애디슨, 버크, 칸트 등에 의해 그 가치 ... ’)롱기누스의 숭고론은 수사학에 가깝고, 버크의 지적대로 미와 숭고를 따로 구분하여 체계적으로 고찰하지 못했다. 버크는『숭고와 미의 이념의 기원에 대한 철학적 탐구』(1757
[료타르], 숭고와 아방가르드숭고의 부정적 묘사"계시"를 말하는 뉴먼의 예술론('Sublime now')과 그의 다양한 예술실험에서 료타르는 새로운 미학의 단초를 찾는다. 그리고 ... 다. 이 전통은 헬레니즘에서는 "침묵"을 숭고의 수사(修辭)로 제시한 롱기누스, 헤브라이즘에서는 '형상을 만들지 말라'고 명한 구약성서의 '형상금지'(Bildverbot)의 계율 ... 로 거슬러 올라간다.'미'의 왕국에 머물렀던 고전주의자들과 달리 낭만주의자들은 '숭고'를 묘사하려 했다. 뉴먼은 이들과는 다른 방식으로 숭고를 실천한다. 화폭에서 모든 이미지를 지우는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