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구파 거물 한규직(韓圭稷)?이조연(李祖淵) 등을 국왕의 이름으로 불러들여 처단하고 민씨 척족세력과 개화당의 배신자인 환관 유재현(柳在賢)등도 처단하였다. 이어 개화당은 신정부 ... (傳敎形式)으로 공포되었으며 오후에는 국왕이 개혁정치를 천명하는 조서(詔書)를 내렸다. 혁신정강의 주요내용은 대원군의 환국, 문벌의 폐지, 지조법(地租法)의 개혁, 내시부(內侍府 ... 고 오히려 고함을 치며, “조선의 법에 누가 문신은 칼을 차지 못하도록 하였느냐? 내 수중에 칼을 들어 너희들을 만 갈래로 쳐서 죽이지 못한 것이 한이다”라고 하였다.그리고 중관 유재현
에게 고종을 호위하게 하여 경우궁으로 모신 후 수구당 인사들에게 창덕궁으로 입궐하라는 명령을 내리고 입궐하는 민영목, 조영하, 민태호, 유재현 등 수구당의 인물들을 척살하였다.이리하여 ... 말라는 단서는 개화파 자신들도 실천하지 못하고 있다.③ 의 지조법 개혁은 ②항과 함께 개화당이 내세운 주요 정강인데 이 재정문제는 그들의 관심사였다.④ 의 내시부 혁파는 궁중 내 ... 에서 왕과 왕비 및 대비를 둘러싸고 폐단을 일으키는 관행을 막기 위해서일 뿐만 아니라 민문과 깊은 관계를 맺은 내시들의 뿌리를 뽑아버리려는 의도였을 것이다.⑤ 의 탐관오리 숙청
이 상주한 사관학교 설립계획마저 무산되고 말았다. 민영익에 이어서 1884년 10월에는 개화당의 주요인사였던 내시 柳在賢이 이탈하여 집권파에 가담하였다. 유재현은 국왕을 둘러싸고 비밀리 ... 들은 국왕을 통해 친군영의 2영을 4영으로 확충 개편하여 군권의 실권을 완전히 장악한 다음, 개화당인 환관 유재현을 포섭하여 참소하기 시작하였다. 국왕은 처음에 이들의 참소를 무시 ... 었던 환관 유재현에게 배신당하고 윤웅렬의 기회주의적 처신으로 70명만을 서울에서 갖게 되었다. 그러나 이들은 무과합격자와 동일한 자격을 인정받은 최정예였으며, 어디에 배속되었는지 기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