을 하지 못하게 하였다. 그래서 백성들이 목숨을 부지하며 일찍 죽지 않고, 작물이 여물어 재해가 없으며, 백관이 공정하여 사사로움이 없고, 상하가 조화를 이루어 허물이 없으며, 법령 ... (淮南子)」남명훈위에서 ‘황제(黃帝)’는 유가의 이상적인 인간상의 ‘군자(君子)’의 모습으로 나타나고 있다. 또한, 덕을 근본으로 삼은 ‘황제(黃帝)’의 교화(敎化)는 백성은 물론
다. 더더구나 가치관이 여물지 못한 학생들에게 자신의 삶을 아름답게 가꾸어가야 할 길을 제시하게 하는 일은 지극히 당연한 일이고, 바람직한 일일 것이다. 우리가 살아가면서 날마다 감동 ... 일 따름입니다."란 구절은 조야(朝野)에 큰 파문을 일으켰다. 명종(明宗)은 남명의 글이 공손치 못하다 하여 처벌하려 했으나, 산림처사가 나라를 걱정하는 상소를 책잡아 처벌하는 것
하여 사천으로 진입하여 1664년 장헌충을 사살함으로써 사천성까지 장악하였다. 이에 이자성과 장헌충의 잔여세력들은 남명정권과 연합하여 청조에 저항을 계속하였다.한편 이자성의 북경점령 ... 하였으나 16을 보이면서도, 남명정권의 존재와 그로 인한 동란상태의 지속이라는 구체적인 상황에서 차이를 보여주는 것이 이 지역의 경우이다.이처럼 내지정복의 과정에서 청조는 그것을 수행하기 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