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문의 연원관에 기인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또한《명현록(名賢錄)》이라고도 하며 중국의 《송원학안(宋元學案)》 등을 본떠서 만든 책이다. 문신 박세채(朴世采), 이세환(李世瑍 ... 는데 이는 저자 나름대로 세운 기준에 의하여 한 것이다. 이는 공자의 춘추필법(春秋筆法)을 전범(典範)으로 삼아서 만든 가치기준이다.《남계예설(南溪禮說)》=(南溪先生禮說) 남계의 사후 ... 에서 추구하려는 모습과 일치하지 않다는 시각이 유교 지식인 사이에 확산되었다. 남계도 앞서 예교 용례에서 禮敎가 올바로 시행되지 않는 까닭을 이것으로 돌렸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박세채
에게 영향을 준 인물-1)南溪(남계) 朴世采(박세채)-明齋(명재)尹拯(윤증)-4.交友(교우)관계에 나타난 霞谷(하곡)의 양명학적 입장-1)誠齋(성재) 閔以升(민이승)-2)明谷(명곡 ... .하곡에게 영향을 준 인물1)南溪(남계) 박세채①南溪(남계)의 약력본관은 반남(潘南). 조선 중기 학자·정치가. 자는 화숙(和叔), 호는 현석(玄石)·남계(南溪). 명문세족의 가계 ... )의 딸이다. 한성부 반곡방(盤谷坊)에서 출생하였으나 시흥시 화정동 가래울 마을에서 살았다.어려서는 이상익(李商翼)에게 수학하다가 20여세 때부터 박세채를 스승으로 섬기며 수학 하
을 남기고 있다. 그리고 빼어난 시풍을 과시하고 있다. 실제로 박세채(朴世采)는 조선 중기의 팔문장을 논하면서 율곡을 그 중 한 사람으로 들기도 하였다.)사실 필자는 시에 대해서 ... 는 해였고, 이때부터 사림은 다시 정계로 복귀하기 시작하였다.1566년에는 남계서원(藍溪書院)에 사액하였으며, 그 해 6월에는 명종이 죽고 선조가 즉위하였다. 선조 즉위 다음해인 ... 1568년에는 조광조(趙光祖)에게 영의정을 추서, 이황이 일시에 대제학에 취임하고 남곤(南袞)의 관직삭탈, 1569년(선조 2)에는 이이의〈동호문답〉제진, 그리고 1570년에는 유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