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 최치원의 〈난랑비서〉에는 난랑이 특정인임을 시사하는 내용이 내용이 어디에도 없으며 난랑이 비문의 표제가 될 정도로 유명한 인물이라면 인명 사전이나 사서에 그가 언제 어디서 무엇을 어떻 ... 게 했다는 기록이 있을 텐데 그러한 기록을 전혀 찾아볼 수 없다는 것이 이 주장의 근거이다. 나아가 〈난랑비서〉는 최치원의 저작으로서 신라의 국운이 쇠퇴 일로에 있던 시대에 쓰어진 ... 셈인데, 한 편으로는 국풍의 진작과 부흥이 요청되는 시기였기 때문에 〈난랑비서〉가 화랑을 聖鳥인 봉황에 비유해 화랑도의 진작과 부흥을 꾀했던 것이며, 그래서 그 비가 세워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