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라는 가르침으로 유교의 통치술과 불교의 통심술을 부합시켰다. 그는 세간과 출세간의 균형적 시각을 제시하여 두 왕들로 하여금 국사(國師)로 추존을 받았다, 이로 인해 그는 양조국사 ... - 강원 강릉범일(梵日)행적(行寂)개청(開淸)지눌(知訥)나옹(懶翁)사굴산문의 개창자는 범일(梵日)이다. 지방호족 출신이었던 범일은 경문왕(景文王)과 헌강왕과 진성왕이 국사로 모시고자 하 ... 사상은 개청과 행적, 신의(信義) 등으로 이어졌으며 특히 사굴산문은 이후 고려 중기의 지눌(知訥)과 후기의 나옹(懶翁) 등을 배출하여 고려시대의 주요산문이 되었다.8) 수미산문
을 굳히게 되었다.혜심의 뒤를 이어 3세 청진국사(淸眞國師) 몽여(夢如, ?~1252), 4세 진명국사(眞明國師) 혼원(混元, 1191~1271), 5세 원오국사(圓悟國師) 천영(天英 ... , 1215~1286)이 배출되어 지눌과 혜심의 수선사결사정신을 이었다.스승인 원오국사의 뒤를 이은 6세 원감국사(圓鑑國師) 충지(沖止, 1226~1293)는 원(元) 세조가 그 ... 승려는 태고보우(太古普愚), 나옹혜근(懶翁慧勤), 백운경한(白雲景閑))이라고 할 수 있다. 이들은 모두 공민왕(恭愍王)이 즉위하기 전에 원으로 가서 그곳 임제종 출신의 고승
寺)라 하였다. 한때는 대원사(大圓寺)로 표기하였으나, 현재는 대원사(大院寺)라고 한다. 1066년(고려 문종 20) 원명국사(圓明國師) 징엄(澄嚴: 1090∼1141)이 중창 ... 하였는데, 이 때를 창건한 때로 보기도 한다. 1374년(공민왕 23)에는 나옹(懶翁) 혜근(惠勤)이 중창하였고, 1415년(태종 15)에도 중창하였다.1597년(조선 선조 30) 정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