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 서 기 록 장()도서명나목담임교사(인)저 자박완서출판사독서 영역인문(문학), 사회, 수학, 과학, 예술 - 해당 영역 ○표시마음 열기나목이라는 단어는 생소했는데 찾아본 결과 ... 고목과 반대되는 말이다. 고목나무는 너무 오래되서 생명력이 다한 죽어있는 나무이지만, 나목은 겨울에 잠시 잎이 떨어져 있는 상태로 언제든지 싹이 움틀 수 있는 생명력있는 나무인것이 ... 다. 이책은 전쟁이라는 시대적 환경을 바탕으로 그려진 소설이다. 나는 전쟁시절을 겪지 않았지만, 이당시의 삶이 어땠는지 궁금했다. 나목을 통해서 당시 사람들이 어떻게 살았는지 생각
도의 유작전에 가서 자신이 전에 보았던 나무 그림이 고목이 아니라 나목이었음을 깨닫게 된다.4) 작품 내 의미(1) '황량한 풍경의 일각'옥희도의 내면을 잠시 엿본 서술자는 그 속 ... 에서 '나'는 옥희도의 단칸방에서 옥희도의 그림을 보았을 때는 '고목'이라고 생각하다가 옥희도의 유작 전시회에서는 '나목'이라고 생각하게 된다. 이러한 '나'의 인식의 변화 ... 이루어 진 것이라고 본다. 옥희도가 그린 작품은 꽃과 무성한 잎을 다시는 피우지 못하는 고목(枯木)이 아니라 잠시 성장을 멈추고 어려운 한 시기를 극복하는 나목(裸木)이었던 것이
Ⅰ 서 론1. 연구 목적박완서는 1970년 마흔이 되던 해에 《여성동아》 여류 장편소설 공모에 「나목」이 당선되어 등단하였다. 이후 우리 문단을 대표하는 작가로 6?25전쟁 ... 라는 점이다. 이를 토대로 본고에서는 박완서의 초기작인「나목」에서 작가 체험으로 전쟁으로 인한 피해의식을 어떻게 극복하는지 밝혀보고 이로써 「도시의 흉년」,「도둑맞은 가난」을 중심 ... 들의 삶앉아 있는 어머니는 오직 두 아들만을 생각한다. 살아남은 딸의 면전에서 “어쩌면 하늘도 무심하시지. 아들들은 몽땅 잡아가시고 계집애만 남겨노셨노.”(「나목」, p.208)라고 말
들. 나는 홀연히 옥희도씨가 바로 저 나목이었음을 안다.-「나목」중에서 -박수근 화폭에 기둥처럼 버티고 서 있는 나무, 그것도 잎이라는 잎은 남김없이 떨어뜨린 채, 산발한 여인네 ... 과 마력에 끌려서 읽게 된 것이 계기가 되었다. 그 후 10여권의 책을 읽으면서 여성의 눈으로, 박완서라는 타자의 눈으로 세상을 보는데 큰 역할을 해 왔던 것 같다.박완서는 『나목 ... 심정으로 일상적인 행복에 몰입한 듯 살던, 마치 「나목」의 경아와 같이 살았지만 박수근, 즉 예술을 잊어버리지 못했던 것이다. 그래서 박완서는 마침내 「나목」을 쓰고 이렇게 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