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와음, 연철이 많아서 뜻이 잘 통하지 않아 읽기에 곤란을 느끼는 필사본도 많이 있다.? 국립 중앙 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는 필사본 「심청전」(23장본)의 앞 표지에‘신해납월이십구일산 ... 젼윤참판??’이라고 쓰여있고, 그 이면 접지에산젼윤참판??간편이라하더라’고 쓰여 있다.? 필사본 「심청전」표지에 심청전이 여성들에 의해 필사되었음을 알려줌? ??이 만치아니?나 ... 본’‘판각본’이란 고전소설의 형태 중, 목판으로 인쇄된 책을 말한다. 각본(刻本), 각판(刻版), 각판본(刻版本), 목판(木版), 목판본, 조본(彫本), 참본, 침본, 판본 등
.222.라는 평가를 받기도 하였다. 이럼에도 불구하고 이 소설이 목판본을 비롯하여 필사본, 활자본 등 여러 판본이 전하여지는 것으로 보아 상당한 독자층을 형성한 것으로 추측 ... , 1983.7. 성기열은 민간설화와 고전소설과의 긴밀성을 고구하고자 설화적 요소로 구성되었다고 생각되는 고전소설 16편을 선정하여 논의를 전개하였다. 金圓傳에서 설화의 성격은 흥부전 ... 으로 한 논문은 아니었으나, 원화의 한국적 변용을 중심으로 하는 연구에서 언급되었기에 조사해 보았다. 이 논문에선 홍길동전, 申陽洞記 白猿傳 等 중국계 것과 대구·춘천·몽고의 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