으로 중국 고대의 정전법을 생각했지만 그것을 그대로 시행할 수는 없다고 하여 한전론을 주장하였다. 이는 국가의 권력으로 강력한 법을 세워 소전주들의 몰락을 방지하는데 그 중점을 두 ... 을까 생각된다.이익은 또한 중국의 정전법은 이상적이라 현실에 맞지 않고, 유형원의 균전제는 급격한 개혁이라고 비판하면서 현실적인 대안으로 한전제를 주장하였다. 유형원의 균전론이 시행 ... 한전론을 현대적 관점으로 조사1. 한전론의 시대적 배경조선후기인 18세기, 이앙법의 보급과 각종 시비의 발달, 벼 품종의 개발 등 농업 기술력의 발달로 농업생산량이 증가
방법을 통한 균전제 실시 주장. 국가권력으로 小田主(소전주)들의 몰락을 방지하는데 중점을 두어 점진적으로 장기간에 걸쳐 꾸준한 개혁의 실시를 의도.그 외에..박지원(과농소초 ... 했던 토지 개혁 사상은 왕도 정치를 조선사회에 알맞게 재해석하여 그 시행을 역설한 것이며, 실학자들이 주장한 조선후기 토지문제에 대한 개혁론은 均田論(균전론), 限田論(한전론 ... ), 井田論(정전론), 閭田論(여전론)으로 크게 구별할 수 있다.2. 실학자의 농업관1)유형원(균전제)일생동안 농촌에 살면서 농촌사회의 현실에 대한 지식을 기본으로 하여 토지제도와 수취
방법을 통한 균전제의 실시를 주장한 것이라 볼 수 있다. 또한 유형원의 균전제가 국가의 권력으로 토지를 균분하려는 것임에 반해 이익의 한전제는 국가권력으로 소전주들의 몰락을 방지 ... 을 강조하고 각종 개혁안을 주장하였다. 이들의 개혁안은 지주제를 해체하고, 소농 경제를 안정시키는데 중점을 두었던 것이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실학의 전반적인 내용과 개혁안중 토지 개혁안 ... 에 대한 비판적 동향은 한걸음 더 나아가 양명학의 도입으로 나타났다. 양명햑은 명의 왕양명이 일으킨 주관적?실천적인 유학체계로 주기론의 입장에 서 있었으므로 당시 조선의 사회변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