및 소학 시험㉢ 향교생의 특전- 교육 경비 무료, 교생의 군역 면제- 도회(都會)에서 우수한 성적을 얻은자는 생원진사시의 초시 면제㉣ 향교 교생고강제(校生考講制)⑤ 향교의 교육과정 ... 의 공립학교㉢ 성균관과는 독립된 학교㉣ 지방관의 감독④ 향교의 학생㉠ 입학자격 : 법적규제는 없으나 과거에 응시할 수 있는 양반과 양인의 자제㉡ 입학절차 : 향교 교생 10인의 추천
의 감독 하에 있던 교육기관이었다.사학의 유생 정원은 100인, 교수2인, 훈도 2인을 두어 중등정도의 교육을 했다.유생은 달마다 예조가 행하는 고강(考講)을 하고, 6일 만 ... 이상의 신분으로 8세 이상의 남자가 입학할 수 있었다. 향교의 유생과 생도를 교생(校生)이라 하였고, 각 군현의 인구 비례로 배정하였고(부, 대도호부, 목에는 각 90인으로써 도호 ... 부는 70인 군인 50인 현에서는 30인으로 하되, 16세 이하는 이 규정에 들지 않는다) 전국 교생의 정원은 15,000여 명에 달하였다, 그 밖에 액외생(額外生)으로 불리
러 향교의 교육기능이 약화되고 평가기능만이 남게 되자 이를 제도화한 것이 인조 22년(1644)부터 실시된 교생고강등록제(校生考講登錄制), 혹은 낙강충군제(落講充軍制)였다. 이 ... 에 각 1번 교생들을 모아 평가하는데 그침으로써 그 기능이 크게 약화되었다. 이를 춘추강회(春秋講會)라고 하는데 석전제(釋奠祭)를 치른 이후, 봄에는 제술, 가을에는 강독을 시험 ... 제도는 매년 봄, 가을에 향교에 등록된 교생에 대해 평가를 하여, 떨어진 교생을 바로 군대에 징발하는 제도였다. 이 제도는 향교가 일반 서민층의 신분 상승의 수단이 되고 따라서 많
회시(會試)에 직접 응시하게 하거나 고강(考講)에서 우 수한 사람에게는 호역(戶役)을 면제받을 수 있는 기회가 주어지는 것 등의 특전이 부여되었다. 이와 같은 특전이 주어지는 교생 ... I. 序 論향교(鄕校)란 고려(高麗)시대에 설립되기 시작하여 조선(朝鮮)초에 와서 전국각지에 보급되었던 지방의 관립 교육기관을 의미한다. 여기에서 공부 하던 학생들을 교생(校生 ... )와 선현(先賢)을 모 시는 문묘(文廟)와 강학(講學)장소인 명륜당(明倫堂), 그리고 교생(校生)들의 거접(居 接)장소인 동(東)·서제(西 )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비록 향교(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