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의 관계-메이지정권 수립의 서계거부* 1868년 메이지 유신을 단행한 일본은 그해 12월 도꾸가와(德川)막부 260년간의 교린외교에 따라 쓰시마(對馬島)주 무네(宗)씨를 통해 왕정 ... 는 의혹을 주어 양국관계의 갈등을 자아낸 최대 요인이 됨.* 즉 조선과 일본은 임진왜란기(1592∼1598)를 제외하고는 장기간 교린·선린관계가 유지하여 옴. -->외교문서에도 조선국왕 ... 의 실시는 대원군시기 지방에 따라 부분적으로 시행되어 소기의 성과를 거두지는 못하였다.(2) 軍政*민란의 주원인 : 군포는 본래 병역세로 징수하였으나 양반에게는 면세특권이 주어졌
이 체결된 곳이 강화(江華)여서 강화도 조약이라고 부른다.강화도 조약은 조선과 일본 사이에 존재했던 동아시아 특유의 전통적이고 봉건적인 교린(交隣)관계를 국제법에 터잡은 근대 ... 적 외교관계로 대치했다. 그러나 유럽 열강의 제국주의ㆍ식민주의를 뒷받침한 가장 힘센 무기가 함포(艦砲)와 국제법이었던 데서도 짐작할 수 있듯, 일본이 함포와 국제법을 무기로 조선에 강요 ... 일행이 군함 2척, 운송선(運送船) 3척에 약 400명의 병력을 거느리고 강화도 갑곶(甲串)에 상륙하여 협상을 강요해왔다. 이에 조선 정부는 국제관계의 대세에 따라 수호통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