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은 이를 채무자의 재산으로 다루어 강제집행을 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강제집행을 하고 남은 재산은 당초 그 재산을 반환한 수익자나 전득자에 복귀시켜야 하며 채무자에 지급해서는 안 ... 에 된다. 이 때 판례에 의하면 채무자에 대한 債務名義를 가지고 채무자의 소유물에 대하여 강제집행을 하므로 아무런 문제가 없다고 하고 있으나 채무자에 대한 채무명의를 가지고 수익자 ... 에 대한 강제집행을 허용하게 되는 결과가 된다고 한다.③ 취소의 효력이 채권자와 수익자 또는 전득자에게만 미친다고 한다면 취소권 이외의 채권자는 반환받은 재산으로부터 배당을 받는 것
는 채무자의 일반재산 즉, 강제집행에 의하여 환가처분을 할 수 있는 재산이 된다. 하지만 채권법의 영역에서는 채권자평등의 원칙이 적용되어 채무자의 재산은 개개의 채권에 대하여 이행 ... 재산으로 회복된 재산에 대하여 강제집행을 하기 위해서는 책임판결(강제집행인용판결)을 받아야 하는데 우리 민사소송법상 독일법에서 인정되고 있는 강제집행인용의 소(Die Klage ... 채권자가 성실하게 채무의 내용을 좇아 이행을 하는 경우에는 하등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겠지만, 그렇지 아니한 경우에 채권자는 현실적 이행의 강제를 하고 또 그 불이행에 대한 손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