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연동(渭原龍淵洞), 강계길다동(江界吉多洞), 덕천군청송리(德川郡靑松里) 등의 유적에서는 명도전이 처음으로 철제 이기(利器)들과 함께 나오고 있어 명도전의 유입이 승석문회도(繩蓆文 ... 으로 쓰일 수 있으나 백동질(白銅質)이므로 실전 무기로는 부적절하다. 특히 Ⅱ식 검은 칼끝이 길어지고 칼집 장식도 의기(義器)적인 성격을 띠는 등, 세형동검은 의기(義器), 장신구 ... 어지는 것이 특색이다.③ 동모(銅 )동과(銅戈)와 동시에 나타나는 무기로서 처음에는 짧고 단단한 실용구처럼 보이지만 뒤에는 세형동검, 과와 마찬가지로 끝이 길어지고 자루 구멍 옆
~19g . 우리나라에서는 북한의 시중 노남리 집자리유적, 평양 정백동 무덤유적에서 적은 양이 출토, 영변 세죽리, 위원 용연동, 강계 길다동 유적 등에서 수백·수천 매씩 묶여 항아리 ... 역(易)자 표시. 뒷변에는 간지(干支)·좌(左)·우(右)·행(行)·제화(齊化) 등의 문자가 는데, 그 종류는 다양. 길이 12.4~13.5㎝, 너비 1.5~1.9㎝, 무게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