것이고 따라서 이는 비단 文에만 해당되는 말은 아닐 것이다. 이서구는 이와 같은 연암의 영향을 바탕으로 특히, 李德懋와 교유한 시에서 ‘朝鮮風’에 대한 인식을 강렬하게 나타내고 있 ... 는 물건 모두 다 시로 되네*눈앞의 경물마다 시가 되어 살아나네二首摹來眞境語還奇 진경을 묘사하여 시어 더욱 신기하니,*참된 경지 그려내면 시어 외려 기이하니里曲田歌亦可師 농촌의 노래 ... 의 여러분들’이라고 해석했고 남재철은 ‘호서지방의 여러 선비’로 해석하여 南渡를 호서지방으로 보았다. 二首에서는 1구의 還을 김윤조는 더욱, 남재철은 외려라고 표현했는데 이 부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