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 쓰면, ‘靑丘詠言’·‘靑邱永言’·‘靑丘?言’ 등으로 표기된다. 우리의 노래가 구전으로만 읊어지다가 없어짐을 한탄하여, 기록으로써 후세에 전하고자 이 책을 편찬하였다고 한다. 이 ... 本) ③ 가람본(李秉岐본), ④ 연민본(淵民本, 李家源본), ⑤ 육당본(六堂本, 崔南善본), ⑥ 이희승본(李熙昇본, 一石本), ⑦ 일본인(오구라 신페이(小倉進平), 후지타(藤田亮策 ... 하므로 실제 완성된 시기는 1728년으로 본다.은 책이름이 동일하지만, 제각기 특색을 지니며 내용도 상당한 차이를 보인다. 즉 에는 ① 진본(珍本, 吳章煥본), ② 홍재휴본(洪在烋本, 洪氏