으로 하는 군사활동을 전개하였던 것이 倭의 실체라고 본다.다섯째, 『宋書』 倭國傳에 倭王이 宋으로부터 인정받았다는 都督諸軍事號에 포함된 新羅, 任那, 加羅, 辰韓, 牟韓 등의 명칭 ... 은 한반도의 나라들을 가리키는 것이 아니라, 일본지역에 산재하고 있던 삼한 삼국의 분국들을 가리키는 것이다.) 興死, 弟武立, 自稱使特節·都督倭百濟新羅任那加羅秦韓慕韓七國諸軍事·安東大 ... 任那日本府說에 대한 考察차례1. 序 - 任那日本府의 諸論議2. 기존학계의 연구성과1) 출선기관설2) 분국설3) 가야의 왜인설4) 백제군사령부설3. 최근의 연구동향1) 외교사절설2
에 두고 이해해야 한다. 宋 자국은 文으로 治國하면서 蕃國인 고려에 대해서는 都督이나 諸軍事와 같은 행정권과 군사권을 관할하는 官爵을 수여하고 더불어 낮은 관작을 제수 하였는데 이 ... 에 대한 책봉을 결정하게 되고 그 내역은 일률적으로 高麗國王 이라는 王爵이었으며 부수적으로 食邑과 功臣號가 수반되는 경우가 있었다.중국의 황제에게서 받은 고려 국왕의 책봉은 고려 국왕 ... 는 諸侯國으로 하여금 天子國을 수호하는 蕃國의 의미를 강하게 인식하게 하려는 의미를 지닌 것이 아닌가라는 생각이 든다.宋에서 高麗國王에게 준 冊封官爵은 그들이 고려에게 바랬던 고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