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 주목 영묘사라는 절 이름과 관련하여 호국의 뜻이 내재된 것으로 생각 됨(3)-2.통일신라시대 - 고구려, 백제, 신라의 조전술(造塼術)을 이어 받아 여러 가지 전형(塼形)을 개발 ... 당각각 특색있게 전개되던 전돌은 통일신라시대에 이르러 더욱 다양하게 제작되어 화려함과 장식성을 잘 보여주고 있다. 그러나 고려와 조선시대에는 문양전(文樣塼)대신에 무문전(無文塼 ... )이 많이 제작되었고 건물의 벽이나 성벽을 쌓기 위한 벽전(壁塼)이 중심이 되면서 기능적이고 단순한 의장으로 변화하게 되었다.(1).고구려의 전돌 분묘와 도성, 그리고 절터에서 조금
)과 조로 2년명 쌍록보상화문전(調露 二年銘 雙鹿寶相華文塼/그림9)등을 통하여 삼국이 보유하였던 조전술(造塼術)의 수준을 짐작할 수 있다. 특히 조로 2년명 쌍록보상화문전이나 황룡 ... 사지 출토 황룡문전(黃龍文塼)의 문양은 다양·화려함에서 다른나라의 추종을 불허하는 통일신라초기 막새와 더불어 당시 세계최고 수준의 조와(造瓦)·조전술(造塼術)을 보여주고 있다. 그러 ... 함에도 불구하고 삼국시대 신라의 조전(造塼)기원은 어디까지 소급할 수 있는지 아직도 확실치는 못하다. 다만 기와의 경우 기원전 2∼1세기경 한반도의 북부에서 제작되었음을 감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