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통합검색(18)
  • 리포트(15)
  • 논문(3)
판매자 표지는 다운로드시 포함되지 않습니다.

"訓借字" 검색결과 1-18 / 18건

  • 藤原朝臣(ふじわらあそみ)系 萬葉歌人의 音假名考 (A Study on Ongana of Huziwara-asomi in 『Manyosyu』)
    동아시아고대학회 이지수
    논문 | 31페이지 | 무료 | 등록일 2025.03.18 | 수정일 2025.03.28
  • 판매자 표지 자료 표지
    <향가의 향찰해독>에 대하여
    어 표기한 글자는 훈으로 읽고 음을 빌어 표기한 글자는 음으로 읽었는데, 전자를 훈차자(訓借字) 또는 훈독자(訓讀字)라 하고 후자를 음차자(音借字) 또는 음독자(音讀字)라고 한다
    리포트 | 16페이지 | 2,000원 | 등록일 2023.11.01
  • 『만요슈』의 마히토계 가나 (A study of Manyeopgana of Mahito in “Manyosyu”)
    동아시아일본학회 이지수
    논문 | 20페이지 | 무료 | 등록일 2025.03.18 | 수정일 2025.03.28
  • 북학의 논리
    는 한 우리다운 것으로 살려 쓰기 위해 한문자를 우리 말 ‘訓’중심의 새 자어를 만들어 쓰기도 하였으며, 음과 훈을 함께 借한 字語를 만들어 쓰기도 했다. 이상의 사실들은 모두 문자 ... 의 사물에 대하여는 그 고유 개념이나 언어로만 진실하게 표현할 수 있다고 믿어, 우리말의 개념과 우리말을 訓借 혹은 音差 하거나 音訓共借하여 가능한 한 우리 것에 아름다운 언어 감각
    리포트 | 6페이지 | 2,000원 | 등록일 2014.01.22
  • 향가의 향찰 해독
    한 글자는 훈으로 읽고 음을 빌어 표기한 글자는 음으로 읽었는데, 전자를 훈차자(訓借字) 또는 훈독자(訓讀字)라 하고 후자를 음차자(音借字) 또는 음독자(音讀字)라고 한다.? 실제
    리포트 | 16페이지 | 2,000원 | 등록일 2011.12.13 | 수정일 2016.05.17
  • 국어의 차자표기에 대한 정리
    는데, 보통 줄여서 차자표기(借字表記)라고 부른다.차자표기의 방법으로는 한자의 訓을 빌어 쓰는 방법과 音을 빌어 쓰는 두 가지의 방법이 있으며, 훈을 빌어 쓰는 자를 訓讀字, 訓借字 ... 柱東에 의해 정리되었고, 2차로 南豊絃에 의해 정리되었다. 梁柱東은 한자의 뜻을 빌려 쓴 향찰의 해독에 쓰인 해독 원리의 용어들로 訓讀 ? 訓借 ? 義訓讀 ? 義訓借 ? 義訓略借 ... 다. 이런 경우에는 보통 半子보다도 획이 훨씬 적은, 무슨 기호들 같이 보이는 略體字를 썼다. 윗글에서 예를 들면 ‘爲尼’(?니)는 ‘ソヒ’로 ‘羅’(라)는 ‘?’ 또는
    리포트 | 7페이지 | 2,000원 | 등록일 2009.06.19
  • 아테지 발표자료
    用法にこだわらずに漢字で 記するもの 。 意義に関係なく漢字の音ㆍ訓借り用いるので借字とも言う。基本的に漢語以外の語に対する漢字は すべて宛字という。2。あて字の種類1)読み方で宛る類(表音的宛字 ... 宛 字• 順序1。あて字の意味 2。あて字の種類 1)読み方で宛る類(表音的宛字) 2)意味で宛る類(表語的宛字)-塾字訓 3。参考文献1。あて字の意味あて字また宛字は形音義を兼ね備えた 漢字本来の ... の宛字である。現来記録文․候文などの実用文書や真名本․漢和連句․ 狂詩などの好向文芸など、漢字中心の 文献に発達したもの。②音借例) 名詞はかりでない。 兎角(とかく)․丁度(ちょうど)などの副詞 暢
    리포트 | 13페이지 | 2,000원 | 등록일 2007.11.28
  • [국어학]한자 차용표기 (향찰, 구결, 이두) 고찰하기
    을 빌리는 것을 '음차'(音借)라고 하고 한자의 훈을 빌리는 것을 '훈차'(訓借)라 한다. 반면 기록된 자료를 읽을 경우를 생각하면, 음차된 한자를 읽는 것을 '음독'(音讀)이라 하 ... (존칭) → 주격> <乙/을 → 대격> 등, 부사에는 <强亦/구틔여> <無亦/업스여(없이)> 등이 있다. 이상의 글자들을 차자체계에서 보면, 독자(讀字)는 한자 본래의 의미를 살려 ... 음이나 새김을 차용한 것이고, 가자(假字)는 한자 본래의 의미와는 상관 없이 음이나 새김의 발음만 빌려서 한국어를 표기한 것이다. 조선시대의 이두문은 주로 왕이 신하에게 내리
    리포트 | 2페이지 | 1,500원 | 등록일 2007.01.02
  • [어문계]借字表記(차자표기)
    는 방법과 音을 빌어 쓰는 두 가지의 방법이 있으며, 훈을 빌어 쓰는 자를 訓讀字, 訓借字라고 하고, 음을 빌어 쓰는 방법을 音讀字, 音借字라고 한다.2. 借字表記法의 原理우리의 선조 ... 【 目 次 】1. 借字表記法 / 22. 借字表記法의 原理 / 2(1) 梁柱東의 借製字 原理 / 2(2) 南豊絃의 借製字 原理 / 43. 音節末 子音添記 / 6(1) 종류 / 6 ... 表記의 原理와 借字表記의 體系연구들이 사용하고 있는 하위 용어로 音讀, 音借, 音假, 訓讀, 訓借, 訓假 등이 있다. 讀 은 향찰에서 쓰인 한자들을 音과 訓으로 읽는다는 뜻이고, 借
    리포트 | 10페이지 | 2,500원 | 등록일 2006.03.04
  • 향가 작품의 해석
    ’이 될 것이 아닌가 생각한다. 모음으로 끝난 어간 밑에서는 ‘良’字의 ‘ㄹ’을 살려 읽는 것이 김완진의 기본 태도이거니와, ‘?러딜’이 먼저 있고 ‘?-’+‘-어’로 이루어전 ... ‘?딜’의 영향하에 ‘?러딜’이 생겨났던 것이라고 추측한다. 또한 ‘浮良落尸’의 ‘浮良’은 義訓借가 아니라 정직한 복합동사의 표기로 보인다. 월명사의 두 작품, 도솔가와 제망매가
    리포트 | 30페이지 | 3,500원 | 등록일 2009.07.01
  • [인문]고려향가 혜성가(彗 星 歌 )분석
    다고 생각한 다.4)聞古: 양-‘듣고’. 聞‘듣’(訓讀), 古‘고’(接續助詞)月置八切爾數於將來尸波衣1)月置: 양-‘?두’. 月‘?’(訓讀), 置‘두’(訓借, 助詞)홍-‘?도’. 굳이 ... )數於: 양-‘혀’. 數‘혀’(訓借), 於‘어’(音借, ‘:혀’의 末音添記)홍-‘數’도 본래는 두 음절이었거나 적어도 끝소리를 가졌던 것으로서 ‘於’는 곧 그 런 음과 연계 ... ‘?’(訓讀, 義字), 反‘븐’(通音借), 也‘여’(感歎助詞)홍-‘??여(야)’. 오라가에서 ‘京反’을 ‘셜?’로 읽었으며 ‘也’는 음이 ‘야’니 ‘白反 也’는 ‘??여’라고 읽을 것
    리포트 | 7페이지 | 1,000원 | 등록일 2006.09.07
  • 국어학입문 제5장 문자론 용어정리사전 과제물
    을 쓰는 방식ex) '다리보리(인두)‘라는 우리말을 ’多里甫里(다리보리)‘로 표기한 것‘도라지’의 고형(苦刑)인 ‘도랒’을 ‘道羅次(도라차)’로 표기한 것?훈차(訓借, =석차(釋借 ... 의 모양을 본따서 만든 자음, 천지인의 조화를 본따서 만든 모음은 제자(制字)원리는 상당히 과학적이면서 독창적인 것이다.③ 신제(新制)문자- 한글은 오랜 세월에 걸쳐서 변화?발전해온
    리포트 | 6페이지 | 1,000원 | 등록일 2008.01.05
  • 한자의 차용과정
    의 원리라고 한다. 讀은 漢文을 읽을 때 漢字가 가지고 있는 본래의 뜻대로 이해되는 것과 같이 우리말의 표기에서도 그 원뜻대로 사용된다는 뜻이고 假는 한문에서 한자를 假借字로 사용 ... 를 借字의 用字法이라고 한다. 이 用字法에서 借字의 文字體系가 나온다.2. 借用한 方法에 따른 種類借字表記에는 여러 가지 種類의 下位表記가 包括된다. 吏讀·鄕札·口訣은 물론이고 ... 하여 單語나 句를 表記하는 것을 가리킨다. 語 彙表記는 文章表記와는 달리 訓借表記와 音借表記가 竝列되어 있을 때에만 자료의 信憑性 이 높아진다. 語彙表記에서는 訓借表記와 音借表記의 어느
    리포트 | 3페이지 | 1,000원 | 등록일 2001.04.18
  • [국어사, 고대 한국어]고대 한국어 연구
    한義訓借字) 라고 부르기도 했다.是 〔i〕, 在 〔kje〕, 飛 〔na〕〔ne〕등이 그 예가 되는데, 이들 중 앞의 9글자 무리는 15세기 한국어의 이, 겨시다, 다다 와 관계있 ... 었다는 주장이 있어 왔으나 이 중 발해 글자를 제외하고는 그런 글자의 존재가 확인된 바 없고, 발해 글자도 압자와(押字瓦) 파편에서 수십 자 확인된 정도이기 때문에 이 글자와 고대
    리포트 | 11페이지 | 2,000원 | 등록일 2005.10.02
  • [국어의 역사]향가해독의 원리
    하지 못했다. 따라서 이것을 t ji 와 같은 것으로 볼 때 紫 의 상성 tsj 와 같다고 하겠다.그리고 1구의 布 는 音借로는 pwo(중고음)로 보 가 되고, 訓借로는 뵈 이 ... 다. 양주동이 背 를 기준으로 배 로 추정했으나, 背 의 중고음도 pw i이며, 訓蒙字會에 빛 로 되어 있다. 음성적으로는 宋代音 pw i가 배 보다는 뵈 에 보다 가깝다. 따라서 뵈 ... 岩乎- 岩 을 訓借로 새기는데는 이견이 없다. 이것은 幹訓尾音의 原則에 가장 적절한 예이다. 그러나 岩 의 新羅語形이 어떤 것이냐에 대해서는 각양각색이다.가:소창진평, 양주동
    리포트 | 23페이지 | 2,500원 | 등록일 2004.05.11
  • [국어국문학] 국어사의 목적과 연구방법
    云" 즉 加羅語로 '門'을 「梁 」이라 하였음을 보아 新羅語와의 차이가 의식 되었음을 알려준다.양주동(1957) "梁"은 訓借字로 *to로 읽히고 일본어 戶(to)에 대응이기문 ... (1961) "梁"은 釋讀字로 "돌(색)"로 읽는다.하지만 신라에 나타나는 지명 종결사 火, 伐(pir, por)이 가야어에도 나타나고, 物(mir-, 水), 居柒(k cir- 황
    리포트 | 7페이지 | 1,000원 | 등록일 2003.12.17
  • [향가] 향가해독법
    ..-⊙향가 해독법의 원리1.일자일음(一字一音)의 원리①일자일음의 원리란 본래 李崇寧(1955)이 제창한 것으로, 같은 字는 같은 音으로 읽혀야 한다는 너무도 당연한 내용의 것이 ... 시고홍기문> 자빛몬 손 어미쇼 노힝겨시고김완진> 자빛몬 손 암쇼 노히시고①執音乎- 分布에서 볼 때 訓借로 새겨진다.'執'의 중세어는 '잡-'이다. 그래서 거의 '잡-'으로 읽고 있
    리포트 | 20페이지 | 1,000원 | 등록일 2003.12.04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3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29 오전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