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통합검색(121)
  • 리포트(100)
  • 논문(19)
  • 시험자료(2)
EasyAI “氣有爲” 관련 자료
외 52건 중 선별하여 새로운 문서 초안을 작성해 드립니다
생성하기
판매자 표지는 다운로드시 포함되지 않습니다.

"氣有爲" 검색결과 1-20 / 121건

  • 율곡학파의 「호연지기」장 연구 -이이, 송시열, 이간, 한원진을 중심으로- (The Study on 'a vast-flowing material force' chapter of the Yulgok school -Focusing on Yi-yi, Song Si-yeol, Yi-gan, Han Won-jin-)
    이이는 주희의 리[無情意, 無造作, 無計度]와 마음[氣之精爽] 개념을 충실하게 반영하고 발전[理無爲, 氣有爲와 心是氣]시킴으로써 「호연지기」장 이해를 개인의 윤리적 차원뿐만 아니 ... 라 국가의 제도적 차원으로까지 확장시켰다. 송시열의 「호연지기」장 해석 또한 기본적으로 이이의 구도를 받아들인 것이다. 다만 그는 이이에 비해 마음의 능동성[心合理氣]을 좀 더 부
    논문 | 29페이지 | 무료 | 등록일 2025.06.24 | 수정일 2025.06.28
  • 炳庵 金駿榮의 性理思想 — 華西學派의 心說에 대한 비판을 중심으로 — (Byeong-Am Kim-Junyeong’s Understanding of Neo-Confucianism - Laying Stress on Criticizing Hwaseo School’s Theory of Mind-)
    하며, 心의 神도 理라고 주장한다. 이에 대한 간재의 비판 논거는 理는 無爲하고 氣는 有爲하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無爲한 理는 動靜할 수 없고, 理의 氣에 대한 주재는 無爲한 理 ... 가 有爲한 氣의 표준이 된다는 의미이고, 氣의 理에 대한 주재는 無爲한 理는 有爲한 氣의 作爲를 따른다는 의미라고 파악한다. 또한 思慮와 知覺 작용을 하는 有爲한 心을 無爲한 理 ... 하고 있다. 그 비판 근거로 스승인 간재의 핵심 사상인 理는 無爲하고 氣는 有爲하다는 말을 표면적으로는 거의 언급하고 있지는 않지만, 그 저변에는 깊게 자리하고 있다. 즉 화서
    논문 | 28페이지 | 무료 | 등록일 2025.05.23 | 수정일 2025.05.26
  • 판매자 표지 자료 표지
    중국문화사 Report - 주자(朱子)와 율곡(栗谷)의 성리학에 대한 비교 역사적 탐구-
    )의 특성은 무형무위(無形無爲)한 것이며 기(氣)의 특성은 유형유위(有形有爲)한 것이다. 즉 형이상자인 이(理)는 초경험적인 세계이므로 형적이 없고 무(無)조작(造作), 무(無)정의(情意 ... , 1130이(理)는 보편적이고 객관적이며 질적 차이가 존재하지 않는 추상적인 원리이며, 기(氣)는 구체적이고 개별적이며 운동성을 지닌 원리이다.우선, 이(理)의 의미와 특성에 대해서 ... 까지나 변화하는 기(氣)의 입장에서 본 이(理)의 성격이다. 천지만물의 공통의 이(理)라는 것을 인식하여 이(理)의 입장에서 기(氣)를 보면, 기(氣)의 동정(動靜)변화(變化
    리포트 | 9페이지 | 3,000원 | 등록일 2025.02.26
  • 艮齋 田愚 性理說의 기본입장 (The Basic Position of Ganje Junoo's Human Nature and Nature Law)
    한국사상문화학회 최정묵, 민황기
    논문 | 20페이지 | 무료 | 등록일 2025.03.11 | 수정일 2025.03.28
  • 蘆沙學說에 대한 淵齋學派의 批判 (Yeon Jae School's Counter-argument against Nohsa's Neo-Confucian Theory)
    학파인 권명희에 의해 작성되었다. 권명희는 기정진이 이이가 말한 ‘機自爾 非有使之’에 대해 리가 아무런 역할도 하지 못하고 천명이 끊긴다고 비판한 것을 반박하였다. 그는 이이의 ‘氣 ... 有爲, 理無爲’의 개념을 받아들이면서도 리는 기를 부리는 妙가 있기 때문에 천명이 끊이지 않는다고 주장했다. 권명희는 오히려 기정진이 리를 유위한 기로 잘못 보고 있다고 비판 ... ), mentioned by Lee Yi. He consented Lee Yi's opinion, “principle is nonactive; material force is active(氣
    논문 | 43페이지 | 무료 | 등록일 2025.06.24 | 수정일 2025.06.28
  • 중국철학사와 청대의 실학사상
    중국철학사와 청대의 실학사상목 차Ⅰ. 서 론Ⅱ. 청대 실학의 특징1. 왕부지王夫之의 기氣철학2. 경전經典으로의 회귀 ( 황종희黃宗羲와 고염무顧炎武)3. 경세치용과 실사구시 ... 의 번창은 역사적 사실의 강조와 경전의 중시에서 나온다고 할 수 있다.Ⅱ. 청대 실학의 특징1. 왕부지王夫之의 기氣철학왕부지(王夫之,1619~1692, 403세)는 장재張載(1002 ... 세)의 기철학을 계승한 대표적 학자다. 왕부지는 기철학을 중심으로 성리학과 심학에 대해 비판을 가했다. 주자학은 리와 기를 존재론적으로 나누고(理氣二元論), 리만이 순수한 선이
    리포트 | 3페이지 | 1,500원 | 등록일 2022.05.13
  • 판매자 표지 자료 표지
    삼명통회 1권, 술수류 제요, 원조화지시.hwp
    과 땅이 아직 구분되기 전으로 원기가 혼잡해 하나가 됨이다.《蒙泉子》曰:“太初者, 理之始也。太虛者, 氣之始也。太素者, 象之始也。太乙者, 數之始也。太極者, 兼理氣象數之始也。”몽천자 ... 質具於地, 而氣行於天, 以質而語, 其生之序, 則水火木金土, 而水木陽也, 火金陰也。5행은 땅에 바탕을 갖추고 기는 하늘을 운행하며 바탕은 탄생 순서를 말하면 수, 화, 목, 금, 토 ... 이며, 수와 목은 양이며, 화와 금은 음이다.以氣而語其行之序, 則曰木火土金水, 而火陽木也, 水金陰也.*원문에는 존재 안한다기로써 운행 순서를 말하면 목, 화, 토, 금, 수이니 화
    리포트 | 15페이지 | 2,500원 | 등록일 2022.06.03
  • 계명대 한국학고전읽기 불씨잡변 불씨인과지변 소감문
    불씨잡변2장 불씨인과지변(佛氏因果之辨)或曰。어떤 사람이 말하기를,吾子辨佛氏輪廻之說。至矣。 “자네의 불씨의 윤회설에 대한 변증(辨證)은 지극하다마는,子言人物皆得陰陽五行之氣以生。자네 ... 의 말에, ‘사람과 만물이 모두 음양오행의 기(氣)를 얻어서 태어났다.’고 했다.今夫人則有智愚賢不肖。그런데 사람은 지혜로운 사람, 어리석은 사람, 어진 사람, 불초(不肖)한 사람 ... ,貧富貴賤壽夭之不同。가난한 사람, 부유한 사람, 귀한 사람, 천한 사람, 장수(長壽)하는 사람, 요절(夭絶)하는 사람 등이 같지 않으며,物則有爲人所畜役。勞苦至死而不辭者。동물의 경우
    리포트 | 3페이지 | 2,000원 | 등록일 2021.05.11
  • 간재 후학 立窩 金鍾淵의 삶과 성리학설 연구 (A study on The Life and Neo-Confucianism of Ganjae school’s Ipwa Kim Jongyeon)
    학파 낙론계의 정론으로 간주되는 ‘이무위(理無爲)·기유위(氣有爲)’와 ‘성즉리(性卽理)’, 그리고 ‘심시기(心是氣)’를 학문의 기반 및 사상의 전제로 삼고, 스승 전우의 ‘이(理 ... ‘Giho studies(畿湖學)’­e.g. ‘Li is inactivity(理無爲)·Qi is activity(氣有爲)’, ‘Xing is a Li(性卽理)’, ‘Xin is a Qi ... )·기(氣) 상호 주재’와 ‘성사심제(性師心弟)’, ‘성존심비(性尊心卑)’ 등의 사상을 적극적으로 계승하면서, 자신의 성리학설을 윤리학적으로 해석하였다. 또한 그는 실천적인 측면
    논문 | 36페이지 | 무료 | 등록일 2025.06.29 | 수정일 2025.07.04
  • [한국사능력검정시험] 한국사 사료 총정리
    하고 기는 局限된다. 理는 無爲하고, 氣는 有爲하므로 기는 발하고 이는 乘한다. 무형무위 하면서 유형유위 하는 것의 주인인 것은 理이며, 유형유위 하면서 무형무위 한 것의 그릇인 것 ... 립제, 균역법 연결『세종실록』“사단은 理가 발한 것이요, 칠정은 氣가 발한 것이다.”『四端理之發, 七情氣之發』이황(이이와 구별)理는 무형이고 氣는 유형이다. 그러므로 이는 通 ... 은 氣이다.이이(이황과 구별)三司 가운데서 이름과 德이 있는 자로서 엄밀히 뽑아서 전랑(銓郞)으로 삼게하되 또한 스스로 후임자를 천거하게 되며, 長官에게 귀속되지 않게 하였으니 이
    시험자료 | 36페이지 | 4,000원 | 등록일 2022.04.12
  • 난대궤범, 전광, 영소, 난경,병원, 천금, 전광방, 생철락위음, 계지거작약가촉칠용골모려탕, 시호가용골모려탕, 치전광백병
    을 말함골전 영추 전광편에 골전질병은 굶주려 부황이 들어 치아와 여러 수혈의 분육이 모두 가득차나 뼈만 남고 땀이 나고 가슴이 답답하게 된다.嘔多沃沫, 氣下泄, 不治。많이 침을 구토 ... 하고 기가 아래로 발설하면 치료를 못한다.筋癲疾 《靈》癲狂篇:筋癲疾者, 身倦攣急大。근전질 영추 전광편에 근전질환은 몸이 권태롭고 경련이 급하고 크다.嘔多沃沫, 氣下泄, 不治。침거품 ... ?의 3부의 음양이 모두 성대하다.重陽者狂, 重陰者癲。중양이면 광이며 중음은 전이 된다.《病源》제병원후론風癲 風癲者, 由氣血虛, 邪入於陰經故也。풍전 풍전이란 기혈이 허약함에서 사기
    리포트 | 9페이지 | 2,500원 | 등록일 2020.08.30
  • 경악전서, 본초정, 지모, 초용담, 지황, 우슬, 맥문동, 속단, 촉규자, 황규화.hwp
    의당하다.?草部습초부地黃 四一 41지황生地黃, 味苦甘, 氣凉.생지황은 고미, 감미로 찬 기이다.氣薄味厚, 沈也, 陰也.생지황 기가 엷고 맛이 두툼하며, 침하며 음이다.鮮者更凉, 乾 ... .滋 생산되니 토기를 가장 두툼하게 얻는다.其色黃, 土之色也.숙지황은 황색은 토의 색이다.其味甘, 土之味也.감미는 토의 맛이다.得土之氣, 而曰非太陰, 陽明之藥, 吾弗信也.숙지황 ... 하므로 5장의 진음을 보하여 또 혈이 많은 장에 가장 중요하니 비위경의 약이 아니겠는가?且夫人之所以有生者, 氣與血耳, 氣主陽而動, 血主陰而靜.사람이 그래서 탄생함은 기와 혈일뿐으로 기
    리포트 | 8페이지 | 2,500원 | 등록일 2020.08.15
  • 李震相學派와 田愚學派의 知覺說 論爭 (The Controversy over Perception between the School of Yi Chin Sang and the School of Cheon Woo)
    다. 또 理와 氣는 모두 동정하지만 그 主體는 理이기 때문에 知覺=理라고 보았던 것이다. 이것은 理主氣資에 근거한 것이다 그는 智와 知覺을 一物에 중점을 두고 보았다. 반면에 田愚 ... 는 知覺을 氣라며 李震相을 비판하였다. 또 그의 제자 南軫永은 智는 理, 知覺은 氣로서 二物에 중점을 두고 보았다. 그것은 서로 떨어지지 않은 관계이지만 一物로 볼 수 없 ... 다며 이진상을 비판하였다. 그는 智와 知覺을 二物에 중점을 두고 보았던 것이다. 결국 그들의 논쟁은 知覺=理와 知覺=氣의 논쟁이었다. 또 리와 기의 인식차이에서 비롯되었다. 이진상은 리
    논문 | 33페이지 | 무료 | 등록일 2025.05.23 | 수정일 2025.05.26
  • 柳重敎와 田愚의 心說論爭에 대한 硏究 —논쟁에 나타난 心說을 중심으로— (The Controversy for Neo-Confucian theory of value between Yu Chunggyo(柳重敎) and Jeonwoo(田愚))
    로 구분하는 논리를 立論으로 하여, 理無爲와 氣有爲의 전제를 心性論에 그대로 적용시킨다. ‘心은 有知覺한 有爲의 氣’이고 ‘性은 곧 理’라는 전통적 해석들을 그대로 계승한다. 主宰 ... 을 그대로 수용하며 ‘心是氣’를 주장하는 艮齋學派간에 펼쳐진 心說 論爭이라고 할 수 있다. 田愚를 論敵으로 華西學派의 金平默과 柳重敎, 그리고 李震相과 郭鍾錫 등이 벌였던 論爭이다.그 ... 년 겨울 유중교가 田愚를 만나 心性․理氣․太極․明德에 대해 논의하면서 시작된 이 논쟁은 이후 14년 동안 지속되었다. 1878년까지 이어진 논쟁은 결론을 이끌어내지 못한 채 絶交
    논문 | 28페이지 | 무료 | 등록일 2025.05.23 | 수정일 2025.05.26
  • 판매자 표지 자료 표지
    동주열국지 90회 第九十回 한문 및 한글번역
    高坐不起。장의가 눈을 들어 보니 소진은 여전히 높은 자리에 앉아 일어나지 않았다.張儀忍氣不過,走上幾步,大罵:「季子,我道?不忘故舊,遠來相投,何竟辱我至此!同學之情何在?」季子:막내아들 ... 한 정은 어디에 있는가?”蘇秦徐徐答曰:「以餘子之才,只道先我而際遇了,不期窮困如此。吾豈不能薦於趙侯,使子富貴?但恐子志衰才退,不能有爲,貽累於薦擧之人。」소진은 서서히 대답했다. “여자[자네
    리포트 | 21페이지 | 12,500원 | 등록일 2025.05.01
  • 대동(大同): 욕망의 동력으로 이루는 유가공동체 (DaTong(大同): Confucianism Community Realizing by Dynamics Force of Desire)
    reaches realization of communal life that is DaTong, through comparison of Kang You-wei’s (康有爲)desire as
    논문 | 38페이지 | 무료 | 등록일 2025.07.08 | 수정일 2025.07.11
  • 도덕 실천 역량에 관한 율곡의 이론체계 淺析 - 心-意를 중심으로 - (A Shallow Analysis on Yi Yulgok’s Theory of Moral Practice Capability)
    율곡은 “理無爲、氣有爲”하고 또한 리기는 “不相離”하기 때문에 오직 “氣發理乘一途”만을 인정했다. 이런 총강령에서 볼 때, 七情에 포함되는 四端뿐만 아니라 人心과 대립하는 道心 ... 를 제공할 수 있다. Since Li[理] does not work and Qi[氣] works, but LiQi does not leave each other, Yulgok
    논문 | 25페이지 | 무료 | 등록일 2025.06.01 | 수정일 2025.06.05
  • 艮齋 田愚의 『孟子』 해석의 특징- 『讀孟子』를 중심으로- (The Characteristic of Gan-Jae Jeon-Woo's Interpretation on the Works of Mencius -Laying Stress on the Thought of the Works of Mencius-)
    한다. 有形有爲한 형이하자로 有善有惡하여 惡으로 흐를 가변성이 내재되어 있는 心은 근본이 될 수 없다는 입장이다. 즉 有爲한 존재는 자신만을 믿고 자기 마음대로 운용하여 惡으로 빠질 가능 ... 는 바로 理로서의 性의 무위성과 氣로서의 心의 유위성에 있었던 것이다.간재의 『맹자』 해석의 가장 큰 특징은 이러한 자신의 성리 사상이 자신의 私見이 아니라, 이미 맹자나 주자가 말
    논문 | 20페이지 | 무료 | 등록일 2025.06.15 | 수정일 2025.06.17
  • 寒洲 李震相의 性理思想에서 動靜論 一攷 (A Study on Dong-Jung Problems of Lee Jin-sang’s Neo-Confucian Philosophy)
    중심은 조선말기 경북 성주에서 학술활동을 전개한 이진상(李震相)의 철학체계 가운데, 태극(太極)과 음양(陰陽), 그리고 리(理)와 기(氣)에서의 동정론(動靜論)을 주로 다루 ... 이 아니고 태극[리]의 동정으로 간주한다. 이는 리에 동정이 있다는 유위성(有爲性)을 주장하는 것이다. 이러한 논리는 이진상이 리중시적(理重視的) 사상 속에서 태극[리]에 동정이 있 ... Gi(氣) and compared to horse. He claimed that junja say, "Dongjung is the root of Eumyang(動靜者 陰陽之本也
    논문 | 28페이지 | 무료 | 등록일 2025.06.30 | 수정일 2025.07.05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45 오전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