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철학사와 청대의 실학사상
- 최초 등록일
- 2022.05.13
- 최종 저작일
- 2022.05
- 3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500원

소개글
"중국철학사와 청대의 실학사상"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Ⅰ. 서 론
Ⅱ. 청대 실학의 특징
1. 왕부지王夫之의 기氣철학
2. 경전經典으로의 회귀 ( 황종희黃宗羲와 고염무顧炎武)
3. 경세치용과 실사구시 ( 안원顔元과 대진戴震)
Ⅲ. 고증학考證學과 공양학公羊學
Ⅳ. 결 론
본문내용
Ⅰ. 서 론
명왕조(1368~1644, 276년)말에 극심한 사회적 혼란은 기존의 주자학과 양명학에 대한 반성을 불러일으켰다. 양명의 주관성 강조에 대한 비판으로 등장한 것이 객관적·역사적 사실에 대한 강조였다. 역사적 사실에 대한 강조는 청대 학자들의 기본적인 관점이라고 할 수 있다. 청대 철학을 대표하는 실학 즉 경세치용(經世致用:학문은 반드시 세상을 경영하는 데에 유익해야 한다)과 실사구시(實事求是:실증에 근거하여 참되 지식을 탐구한다)의 정신, 그리고 고증학의 번창은 역사적 사실의 강조와 경전의 중시에서 나온다고 할 수 있다.
Ⅱ. 청대 실학의 특징
1. 왕부지王夫之의 기氣철학
왕부지(王夫之,1619~1692, 403세)는 장재張載(1002세)의 기철학을 계승한 대표적 학자다. 왕부지는 기철학을 중심으로 성리학과 심학에 대해 비판을 가했다. 주자학은 리와 기를 존재론적으로 나누고(理氣二元論), 리만이 순수한 선이며 기는 선과 악이 혼재한다고 생각했다. 그러나 왕부지의 생각은 달랐다.
참고 자료
박상환 『고쳐 읽는 중국철학이야기』 도서출판 상, 2011
박일봉 『중국사상사』 도서출판 육문사, 2000
풍우란 『중국철학사』 까치글방, 2001
홍문숙, 홍정숙 『중국사를 움직인 100대 사건』 청아출판사, 2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