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 香徒(彌勒香徒, 椎香徒)가 香徒에 관한 자료로서는 매우 구체적인 것이기 때문이었다. 香徒는 불교가 융성하던 신라?고려에서는 사회적 비중이 커서 사회구조를 이해하는데 도움을 줄 ... 한 석탑 조성의 役事 내용을 적은 記文의 내용을 보면 ①은 起功年月日, ②는 役事에 동원된 勞動力과 車?牛의 수 및 石塔의 면적, ③은 이 役事에 참가한 총인원과 彌肋香徒?椎香徒 ... 중에서는 찾아 볼 수 없다.비교가 가능했던 3人을 香徒와 관련 지워 살펴보면, 그들이 모두 두 香徒중 椎香徒에 소속된다는 사실이 주목되는 바이다. 즉 邦祐?昕京 둘은 다같이 隊正
大會的 성격을 지닌 것으로 파악된 점을 상기할 필요가 있다.팔관회는 불교와 재래신앙이 습합된 신앙행사로 파악된다. 향도와 팔관회 사이의 관련은 醴泉 開心寺 石塔記에서 椎香徒에 仙郞 ... 향촌자치조직으로서의 香徒목 차Ⅰ. 머리말Ⅱ. 香徒에 반영된 본관제의 지배질서1) 향도의 조직과 사회적 성격2) 국가의 지배질서와 향도Ⅲ. 香徒의 변화와 새로운 향촌질서의 변동1 ... ) 12세기 전반기 萬佛香徒의 활동과 성격2) 고려 후기 향도의 변화Ⅳ. 맺음말Ⅰ. 머리말고려시대 지방지배질서에 대하여 그 동안 학계에서는 고려 초기 이래 지방세력을 포섭 또는 억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