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규장각을 거쳐간 인물들 1. 초계문신을 거친 대표적 실학자 정약용(丁若鏞 :1762~1836) 심상규(沈象奎 :1766~1838) 서유구(徐有榘 :1764~1845) 2 ... . 서얼출신으로 검서관에 임명된 대표적 실학자 이덕무(李德懋:1741~1793) 유득공(柳得恭:1749~1807) 박제가(朴齊家:1750~1805)정조의 사도세자에 대한 집착“나는 사도
조선의 전쟁사대마도정벌 (對馬島征伐)왜구의 소굴인 대마도를 정벌한 일. 대마도 원정은 좁은 뜻에서는 1419년(세종 1) 6월에 이종무(李從茂)를 삼군도체찰사(三軍都體察使 ... 의 창궐과 행패가 새 도주 소 사다모리의 선동에 의한 것이라 하여 이종무를 삼군도제찰사로, 우박(禹博)·이숙묘(李淑畝)·황의(黃義)를 중군절제사(中軍節制使), 유습(柳濕)을 좌군 ... (東萊-)임진왜란 때 왜군이 동래부(東萊府)를 함락한 싸움. 1592년 4월 왜군이 조선에 상륙하여 14일에 부산을 함락시키자, 동래에 머물러 있던 경상좌병사 이각 (李珏)은 왜군
지。불각구연。어찌 범상한 사람들이 쉽게 구경할 수 있겠읍니까?"하므로, 이 말을 듣고 자신도 모르게 놀랐다.乙亥春。適以特恩出棘。遂定尋眞計。約士人李琦男。前進指路。을해춘。적이특은출극 ... 로 자태를 드러내기에,짐군을 시켜 말을 돌려 보내고, 가벼운 옷차림으로扶杖進步。主人尹奎煥。脚疲告退。其餘?魚貫隨後。부장진보。주인윤규환。각피고퇴。기여병어관수후。가벼운 지팡이를 짚 ... 才三人。平?寬曠。不甚眩視。上逼象緯。下俯人境。종자재삼인。평포관광。불심현시。상핍상위。하부인경。그러나 따라 오르는 사람은 겨우 셋뿐이었다. 이 봉우리는 평평하게 퍼지고넓어서 그리 까마득
었다.-만기요람(萬機要覽)(1808년)1808년(순조8년)에 서영보(徐榮輔), 심상규(沈象奎)등이 왕명을 받아 왕이 나라의 군정(軍政)과 재정(財政)을 관리하기 편하도록 만든 책이 ... (李荇) 등의 증보판이 나오니 이것을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이라고 한다.-신증동국여지 총도(1530년)1530년경에 제작된 지도로서 독도(우산도)가 울릉도의 서쪽
가 일상 정무를 총람 하는 데 있어서 항시 좌우에 두고 참고로 하여 도움이 되게 하려는 책으로 1808년(순조 8년)경에 호조판서 서영보(徐營輔)와 부제학 심상규(沈象奎)가 같이 비국 ... 후기의 실학자 이긍익(李肯翊)이 지은 조선시대 야사총서(野史叢書)이다. 책의 저자인 이긍익은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장경(長卿), 호는 완산(完山)·연려실(燃藜室)이며 원교(圓嶠 ... ) 이광사(李匡師)의 아들로서 이 책은 저자가 부친의 유배지인 신지도(薪智島)에서 42세 때부터 저술하기 시작하여 타계(他界)할 때까지 약 30년 동안에 걸쳐 완성되었다. ‘연려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