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서 연주한다'라고 되어 있다.『악학궤범(樂學軌範)』에 의하면 근천정과 같이 회례연(會禮宴), 동지(冬至), 정조(正祖), 양로연(養老宴) 등에 연주되었고, 그 곡은 『의례경전통해시악(儀禮經傳通解詩樂)』의 남산유대(南山有臺) 황종궁(黃種宮) 25와 같다. ... )로 행하던 것인데,조선 순조 때 궁중정재(宮中呈才)로 채택되었고, 궁중연희가 된 뒤로는 가면이 없어졌다.신라 창(黃倡)이 검무를 잘 추어 유명했으며 백제의 왕 앞에서 검무를 추다가 칼 ... 후 세종(世宗, 1419∼1450) 세조(世祖, 1455∼1468) 양대에 걸쳐 더욱 발전되어 성종(成宗, 1469∼1494) 때에 오방처용무로 완성되어 궁중나례(宮中儺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