와 조건을 탄생시켰다. 특히 조형예술 중 하나인 회화가 유한한 평면 위에 무한한 공간감을 어떻게 표현해내는가가 중요하다. 일찍이 4세기에 육조 남송의 종병(宗炳, 375-443 ... 은 오늘날 투시학에서 평면에 입체를 담아내는 개념인 원근과 고저의 비례관계를 완벽하게 설명했다.왕미(王微, 415-443)은 「서화 (敍畵)」에서 중국 산수화에 대한 더욱 높은 요구 ... 에 민족의 그림인 중국화의 새로운 정립을 위해 연구를 계속하였다.- ‘포석준(抱石?)‘의 성립그는 산수화가들이 제일 널리 쓰는 필법과 준법을 돌파구로 삼아 독특한 붓의 형태인 ‘산
남것으로 이와 같은 고개지의 이론은 사혁의 육법이 이루어질 수 있는 기초와 조건을 마련해 주었다.종병(宗炳, 375-443)은 《화산수서(畵山水序)》에서 산수화의 투시원리에 대한 ... ?-760?)의 인물화에서 나타났다. 오도자는 대상을 선과 공백으로만 표현하여 인물과 옷의 윤곽을 묵선으로 나타내는 백묘법(白描法)을 구사하여 왕유(王維, 701-761)에 앞서 ... 其昌, 1535-1636))에 의해 남북분종론(南北分宗論)과 상남폄북론(尙南貶北論)이 주장된 후 현대에 이르기까지 수묵위주의 화풍이 지배적으로 전개되었다.지·필·묵의 물리적 특성
이다.²고개지(顧愷之) 고개지는 동진의 화가이며 이론가로 자는 장강, 호는 오두로 그의 저서로는 『위진승류화찬』, 『화운대산기』, 『화평』이 있으나 전하지 않는다.³종병(宗炳 ... ) 종병은 자가 소문이며 진진(晋) 령강(寧康) 3년인375년에 출생하여 송송(宋) 원가(元嘉) 20년인 443년에 돌아가셨다. 그는 송 고조가 주부의 벼슬을 주어 불렀으나 나가지 않 ... 하며 합일하고자 하는 대상이었다. 산수화와 풍경화는 그것이 모두 자연을 다루고 있다는 점에서는 동일하지만 그 형성 및 전개에 있어서는 매우 상이하다.1.산수화-동양인들은 오래 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