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 칭호는 문종이 바로 왕세자로 책봉되었기 때문에 대군 책봉의 과정이 없었으므로, 생략되었다. 문종의 동복형제로는 아래로 수양대군(首陽大君) 이유(李?), 안평대군(安平大君) 이용 ... (李瑢), 정의공주(貞議公主) 등 7남 2녀가 있으며, 이복형제로는 화의군(和義君) 이영(李瓔), 계양군 이증(李?), 정현옹주(貞顯翁主) 등 10남 2녀가 있다.배우자로는 현덕왕후 ... 이 옳다.”하고, 드디어 친히 『신진법(新陳法)』을 지어서 수양대군(首陽大君) 및 김종서·정인지 등에게 명하여 함께 교정(校定)하게 하였는데, 이때에 이르러 완성되었다.-『문종실록
는데, 여기서 다룰 안평대군(安平大君) 이용(李瑢)과 월산대군(月山大君) 이정(李?) 이 대표적이다. 이들이 살았던 삶과 예술세계에 대해서 잠깐 비교해보고자 한다.2. 안평대군 ... (安平大君) 이용(李瑢)1) 그의 삶, 그가 겪었던 시대- 자는 청지(淸之), 호는 비해당(匪懈堂), 낭간거사(琅?居土), 매죽헌(梅竹軒) 등이 있는데 주로 비해당을 썼다. 세종 ... 한다. 또 적자인 왕자는 대군(大君)이라 칭하고, 왕자군은 군(君)이라 칭한다. 서자를 굳이 왕자군이라고 칭한 것은 일반 신하들 중에 군(君)의 칭호를 받은 이들과 구분하기 위해서이
으로 송설체를 전한 인물이다. 조선시대에는 안평대군 이용(李瑢 : 1418~53)을 위시하여 집현전을 중심으로 그와 교유하던 문사들과 최흥효(崔興孝)·성임(成任) 등이 송설체를 사용 ... 으나 이 중에서 절대적인 위치를 차지하는 사람은 안평대군(安平大君)이었다. 안평대군은 고려의 계승과 유습(遺習)을 새로운 기운(氣運)으로 쇄신하려는 기세와 고유한 민족기질을 농후케 하 ... 하며 그의 서법을 배우게 되었다. 이암(李巖 : 1297~1364)·이제현(李齊賢 : 1287~1367) 등이 유명한데, 특히 이암은 조맹부 필법의 진수를 체득하여 귀국한 뒤 처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