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에는 형통(刑統)(부소(賦疏)) 통제옥관조(通制獄官條) 및 결안식(結案式) 등이 인용되어 있다. 이미 원나라의 간섭 하에 있던 고려말부터 원나라의 제도와 법률 등이 고려 ... , 姓名 書于儒志山舍 儒志, 齋名지대원년(1308년) 동지일 동구사람 왕여가 유지사사에서 글을 쓰다.新註無寃錄序신주무원록서上古聖人治天下, 豈欲加刑於民哉.상고시대 성인이 천하 ... 者耶.이 편은 율령이 어긋남이 없게 한 것이다.洪武甲子來建陽 建陽, 地名 始見之, 時天台金銘令 天台 地名, 金, 姓, 銘, 名, 令, 職也, 括蒼 金榮中丞 括蒼, 地名, 金, 姓
는 왕실의 관리하에 차를 경작하는 농공업이 이미 전문화되었다는 것을 설명해준다.한대(漢代) 갈현(葛玄)이라는 명사가 절강(浙江) 천태산(天台山)에 식다지포(植茶之圃:차를 심는밭 ... ) 십방(什?) 남안(南安) 무양(武陽)은 모두 명차(名茶)가 난다. 라고 개괄하고 있다.더욱 구체적이고 생동적으로 말하고 있는 것은 서한 말년의 왕포(王褒)의 “동약(?約)” 부(賦 ... ?盡具)와 무도매도(武都買?)로 편료에게 반드시 늘 차를 끊이고, 다구를 세척할 것과 무양(武陽)에 가서 차를 팔 것을 규정한다는 내용이었다.이 부(賦)는 한(漢) 선제(宣帝)신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