人本과 人間愛의 基底에서 출발한 原始儒學은 北宋을 거치면서 새로운 變化를 겪게 되는데, 이것이 新儒學, 理學, 道學, 程朱學, 朱子學, 宋學 등등의 다채로운 이름으로 불리는 性理學이 ... 었다.性理學은 當時의 新知識層에 의해 급속도로 波及되어 나갔으나, 改革되지 않는 高麗의 현실은 새로운 知識層의 헤게모니 쟁탈을 가져왔고, 결국 兩分되어 必然的으로 한 쪽의 승리 ... 齊家 治國 平天下를 위한 三綱五倫의 倫理道德과 經世思想이 儒學에 많음을 지적하고, 이것을 儒學의 장점으로 삼았다. 이런 儒家의 장점이 가장 눈에 띄는 柵이 바로 周禮 인데, 性