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 ☞請肄簡諒 간략하여 따르기 쉽고 진실하여 알기 쉬운 일을 청하여 익힌다, 肄 익힐 이, 諒 살펴 알 양 ☞學樂訟詩 음악을 배우고 시를 외운다. ※樂은 八音의 樂器이고, 詩 ... 는 樂曲으로 노래하는 樂章이라는 뜻도 있다 ☞舞勺(무작) 勺 구기 작 酌詩(작시)를 노래하면서 節(박자)을 삼아 춤추는 것이니, 「詩經」周頌의 武詩이다. 酌 술 부을 작=勺 ※酌詩(작시 ... ) 수작〔酌〕을 노래하는 풍류 가락의 춤으로서 문무(文舞: 문(文)을 상징하는 특정의 복장을 하고 추는춤) ☞成童(성동)은 15세 이상 ※象은 周頌武詩也니 舞象者는 歌象爲節而舞니
黨中健將, 奔走往來, 不辭勞苦, 卒告成功。무창기의 실수혁명당고취 야변시당중건장 분주왕래 불사노고 졸고성공무창에서 의거를 일으킴은 실제 혁명당 고취를 받음이니 그는 곧 당중에 건장 ... 에 구름이 낮게 드리우고 강의 돛단배가 숲속을 달린다. 해문의 조수가 바로 용솟음치니 나도 또한 강궁을 당기고자 한다.(此詩大有寓意。)차시대유우의이 시는 크게 뜻이 깃들어 있다.遊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