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 양상은 조선시대의 농민경영의 구체적 존재형태를 분석함으로써 더 명확히 이해할 수 있다. 구체적인 농민경영의 형태를 파악하기위해서 ‘光武量案’을 활용할 수 있다. 光武量案에는 농민경영 ... 을 확인한 것이다. 이는 봉건적 사회질서의 변동 나아가 발전 가능성을 조선 후기 사회질서가 내재하고 있었다는 것으로 동저자의 “績 量案의 硏究”)에서 제시되는 經營型富農 成立 ... 量案 上의 無主地에 사적 소유권을 부여하는 형식을 취하고는 있으나, 그 실제의 내용은 농민들이 이미 개간한 개간지를 대상으로 하여 그로부터 일반 민전이 국가에 납부하는 상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