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북귀17획(총1자)龠피리약일본 상용한자에 나타난 총 부수 및 해당한자 예상용한자1 水수 물 4 107渦浦永泳液沿演汚沖温河海涯潟活渇滑汗漢汽求泣漁況渓激決潔減源湖江洪港溝混済滋治湿漆汁渋淑 ... 侯候今佐債催作傘仕伺使似侍借儒修住俊傷償伸信侵人仁仙僧像促側俗他体代但値仲低停偵伝倒働任俳倍伯伐伴備俵付侮伏仏併偏便保倣俸傍僕優余僚倫令例3 手수 손 4 85握扱援押拐拡掛括換揮技擬拒拠挙挟掘掲携撃 ... 込遮週述遵進迅遂逝選遷送遭造速退逮達遅逐通追逓適迭途逃透道迫避辺返遍迷遊連10 土토 흙 3 46圧域塩塊壊垣堪基境均型堅坑墾在坂執塾城場壌垂塑増堕壇地墜塚坪堤塗土塔堂培墳塀壁墓報坊墨堀埋塁11 宀
여 草衣 意恂(1785-1866)이 禪門四 辨漫語 를 지어 곧바로 반박하고 있다. 게다가 부휴의 10대 법손인 優曇 洪基(1822-1881) 역 시 禪門證正錄 을 지어 백파의 선문수경 ... 의 전 통적 이념이 조선시대에도 되살아나게 되었던 것이다.{) 曉城 趙明基先生 遺文稿, 韓國佛敎思想史論集 (서울 : 民族社, 1989), 403쪽.그러면서도 불승에 따라 간경 ... 을 제공했다는 것 등이 또 하나의 의의가 될 수 있을 것이다.李能和. 朝鮮佛敎通史 . 慶熙出版社. 1968.이상보. 한국불교가사전집 . 민속원. 1996.曉城 趙明基先生 遺文稿. 韓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