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존의 평가: 사대주의(事大主義)(2) 사대성에 관한 새로운 해석: 존왕의식(尊王意識)4. 김부식의 한시: 유자적 관인(儒者的 官人)5. 맺음말1. 머리말김부식은 고려시대의 대표 ... 적인 유자적 관인(儒者的 官人)으로 우리나라 최초의 관찬사서인『삼국사기(三國史記)』를 저술했다. 그와 그의 저술작은 신채호를 거쳐 지금에 이르기까지 송학(宋學)에 대한 사대주의 ... . 김부식의 한시: 유자적 관인(儒者的 官人)김부식의 시는 현재 37수(首)가 전한다. 이 중 동문선(東文選]))에 선집되어 수록된 시가 34수에 달하여 시의 편수가 다른 시인
가지 기강이 모두 없어졌다--.)”정도전은 이러한 고려체제의 난맥을 제거하고 ‘유교적 관료체제’의 성공을 확실하게 담보할 수 있는 새로운 ‘官人像’으로 재개념화된 ‘儒者’를 제시 ... 제도화 작업에 그의 철학과 경륜이 관여되지 않은 것은 거의 없다. 그런데 그가 의도한 ‘儒者에 의한 정치행정’의 구도는 조선조의 사림들에게 커다란 혜택을 주는 것이었음에도 불구 ... 體制(confucian bureaucratic system)’의 핵심을 구성하는 ‘儒者’가 道學者들이 생각하는 ‘유자’와는 일정한 거리가 있어서 도학의 맥락에서 특정한 위치를 부여받
에서 정무(政務)를 담당=> 상보적* 무신란 이후 문인 지식층의 동향- 청고(淸高)한 일생- 무신정권에 참여하여 현실에서의 영달(榮達)을 구한 사람- 신진관인(新進官人)은 지방 ... 과 서리 외에 지방 향리층② 사대부는 과거 출신의 관료가 다수- 관료는 그들을 儒臣 또는 儒士, 儒者라고 불렀다. 유교적 통치이념을 기반으로 한 고려 문반귀족 중심의 체계는 정치담당
과 北方의 大陸民族으로 부터의 攻擊에 의한 壬辰, 丙子 兩亂을 겪었어도 明의 힘이나 믿었을 뿐 별다른 防策을 세우지 못하고 있었다. 이것은 富國强兵策을 外面한 儒者로 形成된 執權支配 ... 的派는 크게 2가지 유형으로 구분되고 있다. 그 하나는 '穩健開化派', 다른 하나는 '急進開化派'라고 불리는 것이다. 전자는 體制內的인 穩健한 開明官人들이 점진적인 改良을 획책 ... 에서 實學思想, 특히 北學思想의 系譜를 잇는 朴圭壽와 吳慶錫, 그리고 劉大致 등 封建權力 內部의 開明的 官人과 先覺的인 中人出身의 지식인들에 의해서이며 이후 淸의 洋務運動과 日本의 明治
라는 말 자체가 과거관료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과거관료는 그들의 유신(儒臣) 또는 유사(儒士), 유자(儒者)라고 불렀다. 사대부라는 어휘는 '士'와 '大夫'의 합성어이지만 이 ... 하기 위해서는 문신의 존재는 필수적인 것이었다.이들은 중앙의 리(吏) 출신이나 지방의 향리출신의 신진관인(新進官人)이 많았고, 경제적으로는 전기의 문벌귀족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농장 ... 유자(儒者)로서의 갈등을 느끼기도 했으나 자신의 입장이나 이해관계로 이를 외면할 뿐이었다. 반면에 몽고 침입에 대한 항쟁의 현실 속에서 민족의 자존을 희구하는 민족의식의 표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