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1절 六書說의 성립1. 六書의 起源[중국문자의이해] 中國文字의 구조Ⅰ- 六書論1)육서(六書)란 무엇인가?육서(六書)에서 書(서)는 글자, 문자를 뜻한다. 따라서 이는 6가지 ... 들은 모두 유흠의 영향을 받아 한 대의 六書說은 유흠에게서 비롯되었다고 할 수 있다.오늘날 알려진 동양(東洋) 최고(最古)의 분류법(分類法)으로 전한말(前漢末) 류흠(劉歆)이 완성(完成 ... 성 강하시야四曰會意 會意者 比類合誼 以見持 武信是也사왈회의 회의자 비류합의 이견지 무신시야五曰轉注 轉注者 建類一首 同意相受 考老是也오왈전주 전주자 건류일수 동의상우 고로시야六曰假借
는 象形·指事·會意·形聲만이 글자를 만드는 방법이고, 轉注·假借는 단지 기존의 문자를 活用하는 방법이라는 四體二用說을 주장하였다. 許愼 定義 中 轉注句와 假借句 解釋의 애매 ... 를 보면:「許愼 ,字叔重, 汝南召陵人也, 姓淳篤, 少傳學經籍, 馬融常堆敬之, 時人爲之語曰..[五 經無變許叔重], 爲郡攻曹, 擧孝廉, 再遷除 長, 卒于家. 初, 愼以五經博說, 臧否不同 ... 으로 자리를 옮겼다. 집에서 卒했다. 처음에는 許愼은 五經에 대한 說에 대해 옳고 그름의 의견이 같지 않았기에, 이에 《五經異義》를 편찬하였고, 또 《說文解字》 14편을 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