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間接同化), 완전동화(完全同化), 불완전동화(不完全同化), 순행동화(順行同化), 역행동화(逆行同化), ㅣ모음순행동화(母音順行同化), ㅣ모음역행동화(母音逆行同化 umlaut 모음 ... 면 완전동화(完全同化)라 하고 그와 공통점이 많은 다른 자음으로 되면 불완전동화(不完全同化)라 한다. 그리고 뒷자음이 앞자음의 자질에 동화되면 순행동화(順行同化)라 하고, 앞자음 ... 를 들면 ‘좋+고→조코’, ‘좋지→조치’, ‘편하고→편코’ 등이다. 그러나 중세국어 시기에는 곡용(曲用)에서도 이 현상이 있었다. ‘하과→하콰’, ‘하도→하토’가 그 예이다. 중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