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통합검색(448)
  • 리포트(422)
  • 시험자료(21)
  • 논문(3)
  • 방송통신대(2)
판매자 표지는 다운로드시 포함되지 않습니다.

"ㅸ>ㅂ" 검색결과 1-20 / 448건

  • 중세국어의 자음과 음운의 연구 - 순경음脣輕音 ㅂ 의 음가를 중심으로-
    고자 한다.Ⅱ. 순경음脣輕音 “ㅂ” 의 음가 논의1. ㅸ의 음소 여부15세기 국어 /ㅸ/이 음소로서 대립을 이루었느냐, 이루지 못하였느냐 하는 것은 여전히 논란의 여지가 있는 문제다 ... 에 대한 기존의 논의를 정리해보면 다음과 같다. ㅸ을 음소로 인정하지 않는 견해로는 남광우, 허웅, 김형규, 도수희, 박병채 등이 있다. 음소로 인정하지 않는 입장에서는 /ㅸ/이 /ㅂ ... /과 거의 상보적인 분포를 보인다는 점에 주목한 다. 이 경우 /ㅸ/은 /ㅂ/의 결합적 변이음으로 해석된다. 또한 용비어천가에서 활발하게 사용되던 ㅸ이 불과 2년 후에 간행된 석보
    리포트 | 4페이지 | 1,500원 | 등록일 2020.10.30
  • 판매자 표지 자료 표지
    [국어수업자료][학습지도안][교수학습과정안][우리말수업지도안][수업연구지도안] <우리말의 옛 모습> 연구수업지도안입니다.
    용 례ㄷ, ㅌ, ㅈ, ㅊ 받침ㅈㆍㅂ듣ㅈㆍㅂ고, 묻ㅈㆍㅸㆍ샤ㄷㆎ, 믿ㅈㆍㅸㆍ니, 받ㅈㆍㅂㆍㅭㄱ, ㅂ, ㅅ, ㅎ 받침ㅅㆍㅂ먹ㅅㆍㅂ고, 잡ㅅㆍㅸㆍ니, 잇ㅅㆍㅸㆍㄹ고모음과 ㄴ, ㄹ, ㅁ ... 받침ㅿㆍㅂ안ㅿㆍㅂ고, ㅎㆍㅿㆍㅸㆍ니, 뵈ㅿㆍㅸㆍ실 제TP 자료 7◆ 시대별 옛 글 변화표시 기문 자표기법음 운문 법15세기ㅸ, ㆆ, ㅿ, ㅇ, ㆍ 모두 사용이어적기, 방점 사용ㅸ의 ... 을 높이는 것?어간의 끝소리 ‘ㄱ, ㅂ, ㅅ, ㅎ’ 아래에서는 ‘ㅅㆍㅂ’ 형태 → 먹ㅅㆍㅂ거늘?어간의 끝소리 ‘ㅈ, ㅊ, ㄷ’ 아래에서는 ‘ㅈㆍㅂ’ 형 태임 → 듣ㅈㆍㅂ고?어간의 끝소리
    리포트 | 18페이지 | 3,000원 | 등록일 2022.02.17
  • 판매자 표지 자료 표지
    한국어 지역 방언의 보존 방안(교육적 접근을 중심으로)
    )의 통시적인 변화와 관련이 있다. 지금은 존재하지 않는 음소인 순경음 비읍(ㅸ)은 아예 형태가 소멸하고 음가가 반모음 [w]으로 바뀌거나, 비슷한 형태와 음가를 지닌 ‘ㅂ ... 에 반영되어 “여시”로 쓰이게 된 것이다.이러한 점들을 고려하여, 고전 문학 작품에서 순경음 비읍(ㅸ)을 포함한 단어나 문장 또는 순경음 비읍의 형태/음가가 [ㅂ]으로 바뀐 단어 ... )와 관련 있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덥-”과 “-어”가 결합한 현대 표준어형은 “더워”인 반면 경상도 방언형은 “더버”인데, 이는 중세 국어 시기부터 존재했던 순경음 비읍(ㅸ
    리포트 | 5페이지 | 2,500원 | 등록일 2022.12.25 | 수정일 2024.09.22
  • 판매자 표지 자료 표지
    국어 음운사 (자음), 고대부터 근대까지
    어서 폐쇄음(파찰음 포함)에는 평음(ㅂㄷㅈㄱ)과 유기음(ㅍㅌㅊㅋ)의 양 계열이 있었던 것으로 믿어진다.”고 하여 고대국어에 유기음 계열이 존재했음을 주장하고 있다. 반면, 박병채는 “고대 ... 에서도 속격의 ‘叱’(ㅅ)이나 동명사 어미의 ‘尸’(ㄹ) 뒤에 오는 단어의 두음 ‘ㅂㄷㅅㅈㄱ’등이 된소리로 발음되었을 것으로 추측된다. 그러나 된소리는 어두에 나타남으로써 비로소 음운 ... 는 것이다. 어두에서 둘 이상의 자음이 겹쳐 난다고 하여 이를 흔히 어두자음군이라 하는데, 합용의 방식에 따라 편의상 ㅅ계, ㅂ계, ㅄ계로 나눈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①ㅅ계ㅺ
    리포트 | 22페이지 | 7,500원 | 등록일 2025.03.13
  • 훈민정음의 자모와 글자운용법
    하여 설명한다.나) 아음: ㄱ→ㅋ설음: ㄴ→ㄷ→ㅌ(ㄷ→ㄹ)순음: ㅁ→ㅂ→ㅍ치음: ㅅ→ㅈ→ㅊ(ㅅ→ㅿ)후음: ㅇ→ㆆ→ㅎ(ㅇ→ㆁ)1-2) 초성체계초성 17자를 조음 위치와 조음 방법에 따라 ... 나누면 [표1]과 같다. 글자 왼쪽의 한자는 새 글자의 음가를 설명하는 데 이용하였다.조음위치조음방법 .아음설음순음치음후음반설음반치음전청君ㄱ斗ㄷ?ㅂ卽ㅈ?ㆆ차청快ㅋ呑ㅌ漂ㅍ侵ㅊ虛ㅎ전탁 ... ?ㄲ覃ㄸ步ㅃ慈ㅉ洪ㆅ불청불탁業ㆁ那ㄴ彌ㅁ慾ㅇ閭ㄹ穰ㅿ전청戌ㅅ전탁邪ㅆ[표1]17자 이외에도 연서에 따른 순경음 ‘ㅸ, ㆄ, ㅹ, ㅱ’, 각자병서의 ‘ㄲ, ㄸ, ㅃ, ㅉ, ㅆ, ㆅ’, 합용
    리포트 | 4페이지 | 1,000원 | 등록일 2021.05.14
  • 국어사개론(고대~현대)요약본 (임용공부)
    고, 'ㄴ'앞에서는 ' ㄷ', 휴지 앞에서는 탈락하였다.(2)'ㅿ',ㅸ'는 'ㅂㄷㄱㅈ' 등과 연접되면 'ㅅ'과'ㅂ'이 되었다.(3)'ㄷ'은 'ㄴ'위에서 'ㄴ'으로 동화되었다.(4)앞 ... 古代 國語1. 자음체계에 있어서 폐쇄음(파찰음 포함)에는 평음(ㅂㄷㄱㅈ)과 유기음(ㅍㅌㅋㅊ)의 양계열이 있었던 것으로 보여진다.2. 고대국어에는 된소리 계열은 존재하지 않았던 것 ... 으로 보인다.3. 유성마찰음 계열인 'ㅸ' 'ㅿ'가 존재했다는 확실한 증거는 발견되지 않는다.4. 음절 말 자음에서 내파화는 아직 일어나지 않았다. 즉 고대국어에서는 'ㅅ, ㅈ
    시험자료 | 5페이지 | 2,000원 | 등록일 2020.12.16
  • <국어사개설>제8장 요약
    롭디, 효도로움 등나. 특기할 것은 18세기에 있어서의 ‘-스ㄹㅓㅸ-’의 출현임예) 원슈스러은 놈, 어룬스러온 쳬, 촌스러온 이7) 동사 어간으로부터의 ‘-ㅸ-’, ‘ㅂㆍ/브 ... ) ‘ㄱ형용사의 파생법에서 명사로부터의 파생 접미사가. 중세어‘-ㄹㆍㅸ/ㄹㆍㅸㆎ-’, ‘-ㄷㆍㅸ/ㄷㆍㅸㆎ-’ -> 근대어: ‘-ㄹㅗㅸ-’, ‘-되-’로 변함예) 폐롭디, 해 ... 의 겸양법과 공손법의 결합인 ‘-ㅿㆍㅂㄴㆍㅇㅣ다’에 소급하는 ‘-ㅇㆍㅂㄴㆎㅇ이다,-ㅇㆍㅂㄴㆎ이다, -ㅇㆍㅂㄴㆍ이다’ 등은 공손법을 나타내게 되었음7) 중세어 시상 체계의 동요
    리포트 | 13페이지 | 3,000원 | 등록일 2021.07.05
  • 고대국어의 음운체계의 논의
    의 존 ‘ㅸ(?)’과 반치음 ‘ㅿ(z)’의 존재가 국어 자음체계에서 유성음의 기원을 암시하는 것인지, ‘ㅂ, ㅅ’의 통시적 변화과정을 반영하고 있는 것인지에 대한 문제라고 할 수 있 ... 한다. 두 번째 논의자인 이기문은 무성 장애음과 유성 마찰음의 대립관계가 존재했다고 보는 대표적인 학자이다. 그는 여기서 반론을 제기한다. 먼저 중세국어의 모음 간에 ‘ㅂ[b]’와 ‘ㅅ ... ’의 초성이 후기 중세어 어형 ‘ㅿ’에 대응되고 있다.) 또, 앞서 무성의 장애음만 존재했다고 보는 논의에서 중세어의 ‘ㅸ’, ‘ㅿ’에 현대 동남(경상) 방언이 [b]와 [s
    리포트 | 6페이지 | 1,500원 | 등록일 2020.10.30
  • 근대국어의 문자표기와 음운체계의 변화 연구
    하기는 불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4) ㅂ계 합용병서의 쓰임후기 중세국어에 있었던 ‘ㅳ, ㅷ, ㅶ, ㅄ’ 등을 밑바탕으로 하여 ‘ㅲ’이 ‘ㅺ’과 더불어 ‘ㅴ’의 이체(異體)로 추가 ... 되었다. 물론 근대국어에서 ‘ㅵ’의 이체로서 ‘ㅳ’과 ‘ㅼ’이 있었으나 그 외형이 본래의 ㅂ계 합용병서 ‘ㅳ’과 ㅅ계의 합용병서 ‘ㅼ’과 동일하기 때문에 특별히 구별할 필요가 없 ... 다는 점에서 그렇다는 것이다. ‘ㅲ’은 ㅂ계 합용병서로 후기 중세국어에서는 찾아볼 수 없었던 문자다. 문자 ‘ㅲ’은 근대국어에서 ‘ㅺ’과 겨루어 ‘ㅴ’의 이체자임이 확실하다. ‘꺼지
    리포트 | 6페이지 | 1,500원 | 등록일 2020.10.30
  • 판매자 표지 자료 표지
    [국어수업자료][학습지도안][교수학습과정안][중세국어수업지도안][수업연구지도안] 국어 <우리말의 역사> 연구수업지도안입니다.
    , ㅕ위에 적은 28자를 기본 글자로 하고, 이 밖에 병서 문자(竝書文字) ‘ㄲ, ㄸ, ㅃ, ㅉ, ㅆ,ㆅ’ 들과, 순경음(脣輕音) ‘ㅸ’, 그리고 된소리를 적는 데 ‘ㅄ, ㅂ, ㅅ ... 그 사용법(使用法)은 그 당대(當代)에만 지켜졌고, 그 후에는 약간 풀려 가는 경향(傾向)이 있었다. ‘ㅸ,ㆆ’ 두 글자는 얼마간 쓰이다가 없어졌고, 표기법(表記法)도 조금 ... 는 다음과 같다.첫소리[초성 (初聲)]어금닛소리[아음 (牙音)] ㄱ, ㅋ, ㅇ혓소리[설음 (舌音)] ㄷ, ㅌ, ㄴ입술소리[순음 (脣音)] ㅂ, ㅍ, ㅁ잇소리[치음(齒音)] ㅈ, ㅊ
    리포트 | 24페이지 | 3,000원 | 등록일 2022.02.17
  • 중세국어의 용언의 활용
    다, 덥고더ㅸㅓ, 더ㅸㅡ니춥-춥다, 춥고추워, 추우니중세국어에서 ‘ㅂ’ 받침을 가진 용언 가운데 모음어미와 매개모음을 취하는 어미 앞에서 ‘ㅂ’이 ‘ㅸ’로 교체된다. 이는 현대 국어 ... 아)~맛긔, ㅁㆍ차ㄴㆍㄹ(맟아ㄴㆍㄹ)~ㅁㆍㅅㄴㆍㄴ, 저ㅎㆍ니(젛ㅇㆍ니)~저ㅆㆍㅂ아(젓ㅅㆍㅸㅏ)겹받침을 가진 어간의 교체업서(없어)~업게, 깃거(ㄱㅣㅺ어)~깃노라, 맛ㄷㆍ며(ㅁㅏㅼㅇ ... → 몰라ㅂㆍㄹㆍ-ㅂㆍㄹㆍ- + -아 → ㅂㆍㄹ- + -아 → ㅂㆍㄹ- + ㄹ + -아 → ㅂㆍㄹ라‘ㄹㆍ/르’로 끝나는 용언의 교체는 현대국어의 ‘르’ 불규칙활용의 직접적인 소급
    리포트 | 3페이지 | 1,000원 | 등록일 2021.05.14
  • 전기 중세국어의 특징과 국어사적 논의
    는 본래 단어 또는 형태소의 연결에서 나타난 현상으로 생각된다. 가령 고대어에서도 속격의 ‘叱’(ㅅ)이나 동명사 어미의 '尸'(ㄹ) 뒤에 오는 단어의 두음 ‘ㅂ ㄷ ㅅ ㅈ ㄱ' 등 ... 의 표기는 ‘ㅸ’의 존재는 분명히 보여 주지 않지만, 존재했던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鄕藥救急方의 다음과 같은 표기와 15세기의 문헌의 대응 어휘를 비교하면 이 시기에 있어서 순경음 ... ‘ㅸ’의 존재를 긍정적으로 생각하게 된다.(1) 鄕藥救急方에서가. 葵子 阿夫實 아보?나. 落蹄 熊月背 곰??다. ? 只火乙 기블라. ?斗 多里甫伊(里) 다리브리이와 같은 어휘
    리포트 | 6페이지 | 1,500원 | 등록일 2020.10.30
  • 훈민정음의 전반적 이해
    글자이며, ‘ㆁ’은 음성적으로 유사한 ‘ㅇ’에 꼭지를 달아 만들었다.마) ㄱ→ㅋㄴ→ㄷ→ㅌ(ㄷ→ㄹ)ㅁ→ㅂ→ㅍㅅ→ㅈ→ㅊ(ㅅ→ㅿ)ㅇ→ㆆ→ㅎ(ㅇ→ㆁ)초성 17자를 예의에 나오는 용어(전청 ... 音)ㅂㅍㅁ치 음(齒 音)ㅈ, ㅅㅊ후 음(喉 音)ㆆㅎㅇ반설음(半舌音)ㄹ반치음(半齒音)ㅿ[표1]2) 모음자의 제자 원리모음은 상형의 원리에 의해, 기본자 ‘ㆍ, ㅡ, ㅣ’는 각각 ... 되며 “종성을 위해 새로운 문자를 만들지 않고 초성글자 중에서 필요한 것을 가져다 쓴다.”라고 해석하고, ‘그러나 ㄱ, ㆁ, ㄷ, ㄴ, ㅂ, ㅁ, ㅅ, ㄹ 8자면 가히 족히 쓸 수 있
    리포트 | 5페이지 | 1,000원 | 등록일 2021.05.14
  • [중세국어문법] 보조사, 용언의 활용
    의 ‘-도’와 단독의 ‘-ㅽㅜㄴ’a.十方佛도 아ㄹㆍ시ㄴㆍ니라 (석보 13:43)b.諸法 니ㄹㆍ시논 經法도 듣ㅈㆍㅸㆍ며 (석보 13:13)c.唯心으로도 ㅅㆍㅁㆍㅅ디 몯ㅎㆍ며 (몽산 ... 12미 日月라와 느러 (석보 9:4)d.그 뫼히 구룸 ㄱㆍㄷㅎㆍ야 ㅂㆍㄹㆍㅁㆍ라와 ㅽㆍㄹ리 古仙山애 가니라 (월석 7:32)e.다ㄹㆍㄴ ㄱㆍ올히 녯 ㄱㆍ올히라와 됴토다 (두시 8 ... .南 녃 ㄱㆍㄹㆍ매셔 나날 ㅂㆎㅅ시우를 두드리놋다 (두시 20:7)c.衆生ㅇㆎ 福이 쥬ㅇㅢ그ㅇㅔ셔 남과 ㄱㆍㅌㆍㄹㅆㆎ (석보 6:19)d.나실 나래 하ㄴㆍㄹ로셔 셜흔 두 가짓 祥瑞
    리포트 | 7페이지 | 2,500원 | 등록일 2021.06.09
  • [국어사개설] 5. 전기 중세국어 - 요약 정리
    필요함.- 乙(ㄹ), 音(ㅁ), 邑(ㅂ), 叱(ㅅ), 次(ㅈ), 支(ㅎ)예) ?支[薯?] > 중세 국어 맣→ ‘支’에 대한 독법을 제시함.3) 석독자① 단어의 본래 의미와 직접 ... 또는 형태소의 연결에서 나타나는 현상이다.- 고대어에서도 나타남.- 속격의 ‘叱(ㅅ)’, 동명사 어미 ‘尸(ㄹ)’에 연결되는 단어의 두음 ‘ㅂ ㄷ ㅅ ㅈ ㄱ’ → 된소리② 어두 ... )>[z](16세기)5) ‘ ㅸ’의 전제① 실제로 순경음 ‘ ㅸ’이 존재했으나 표기에 반영이 되지 않은 것임.- 불확실한 표기 자료→ 한자에 의한 불완전한 표기, 자료로는 확인
    리포트 | 10페이지 | 1,000원 | 등록일 2021.12.20
  • 훈민정음의 음가원리의 논의 - 반치음의 음가를 중심으로 -
    ’은 그 소리가 맑지도 않고 흐르지도 않다.ㅂ. 아음 군(君)자의 초성은 ㄱ이니, ‘ㄱ’이 ‘ㅤㅜㄴ’과 더불어 ‘군’이 되는 것과 같다.… 반설과 반치의 려(閭)와 양(穰) 등 ... 고 다른 구실만 하는 것도 있다.[ㄴ,ㄷ,ㄹ,ㅁ]은 제자해(梯子解)의 설명이다.[ㅂ]과 [ㅅ]은 초성해(初聲解)의 설명이다.앞선 연구에서 많은 학자들이 위와 같은 훈민정음에 있는 반 ... 하다. 그러므로 ‘ㅿ’은 [z] 소리였으리라 추측된다.? ‘ㅿ’은 ‘ㅸ’음과 상당히 비슷한 성질을 가진 음으로서 우선 그 분포가 ‘ㅅㆍㅿㅣ, 몸ㅿㅗ, 한ㅿㅜㅁ, ㅇㅜㅿㅸㅗ리, ㄱ
    리포트 | 3페이지 | 1,000원 | 등록일 2020.10.29
  • 판매자 표지 자료 표지
    국어 문법 <음운론> 연구
    생김중세 후기(15-16)ㅂㅍㅃㅸㅁ-ㅸ(15세기 중반)→반모음ㅗ/ㅜ바뀜ㄷㅌㄸㅅㅆㅿㄴㄹ-ㅿ(15-16초)소멸ㅈㅊㅉㄱㅋㄲㆁㅎㆅㅇㆍ초성 유성 마찰음(ㅇ) 생김ㆍ어두자음군 ㅂ 계, ㅄ ... : 뿔 →ㅂ과ㅃ을 제외한 두 어휘의 음연계는 똑같다. 즉 ㅂ과 ㅃ에 의해서 두 낱말의 의미가 변별됨(-최소 대립쌍)②변이음: [k], [g]처럼 한 개의 음소가 서로 다른 자리 ... ]들은 각각 별개의 음운이 아니라 하나의 음운 ㅂ /P/의 변이음이 된다. 이 세 변이음이 상보하여 한 음운을 이루기 때문에, 이들의 분포를 상보적 분포라고도 한다.2>모음개념발음시 공기
    리포트 | 11페이지 | 2,500원 | 등록일 2024.01.06
  • 판매자 표지 자료 표지
    국어음운론강의 6장 확인문제 모의답안
    를 간략히 제시한 것이다. 잘 보고 물음에 답해보자. 아음 설음 순음 치음 후음 파열음 무성 ㄱ,ㅋ,ㄲ ㄷ,ㅌ,ㄸ ㅂ,ㅍ,ㅃ ㆆ 마찰음 무성 ㅅ,ㅆ ㅎ, ㆅ 유성 ㅸ ㅿ ㅇ 파찰음 무성 ... 할 수가 없다 음절구조제약, 음절 종성에는 ㄱ,ㄴ,ㄷ,ㄹ,ㅁ,ㅂ,ㅇ 7개 자음만 발음된다. (나) ‘ㅇ’으로 끝나는 용언 어간은 존재하지 않는다. ‘용언 어간’이라는 비음운론적 정보 ... ㅈ,ㅊ,ㅉ 비음 유성 ㆁ ㄴ ㅁ 유음 유성 ㄹ (1) 중세 한국어 시기에는 [유성성]이 변별적 자질로 기능하는지 생각해보자. ㅸ,ㅿ와 같은 순경음과 반시옷이 존재하는 것으로 볼 때
    시험자료 | 6페이지 | 2,000원 | 등록일 2025.08.09 | 수정일 2025.08.14
  • 훈민정음언해 전문 형태소 분석
    [note] 予는 내 ??시논 ?디시니라 此? 이라ㅎㆍ-야 나-ㅣ ㅎㆍ-ㅿㆍㅂ-시-ㄴㆍ-오-(으)ㄴ ㅳㅡㄷ-이-시-니-라(←다)憫然은 어엿비 너기실 씨라 [/note]어엿브 ... ㆍ이-니 ㅎㆍ-니 ㅎㆍ-면? 聲??니라 [note] 舌은 혜라 [/note]ㅎㆍ-니라 혀-이라니-라(←다) 이-라(←다) ㄷ? 혀쏘리니 斗?ㅸ 字? 처? 펴아 나? 소리 ??니 ... ??쓰면 覃땀ㅂ 字? 처?혀-ㅅ-소리-니 펴-아 나-ㄴㆍㄴ ㄱㆍㄷ-ㅎㆍ-니 ㄱㆍㄼ-아-쓰-면펴아 나? 소리 ??니라(4페이지 안에서 이후 같은 분석 생략) ㄱㆍㄷ-ㅎㆍ-니라니-라
    리포트 | 9페이지 | 4,000원 | 등록일 2021.08.31 | 수정일 2022.10.19
  • 판매자 표지 자료 표지
    9급 공무원 국어 고전문헌 읽기(세종어제훈민정음, 용비어천가 등)
    과 달라文字문ㅉㆍㅇ?와?로? 서르 ㅅㆍㅁㆍㅅ디? 아니?ㅎㆍㄹㅆㆎ?한자와 서로 통하지 아니하니이?런 젼ㅊㆍ?로? 어린? 百姓ㅂㆎㄱ셔ㅇ?이?이런 까닭에 어리석은 백성이니르고?져? 호ㅭ ... 들의 사적과 조금도 어긋남이 없으시니제2장불휘? 기픈? 남ㄱㆍㄴ? ㅂㆍㄹㆍ매? 아니? 뮐?ㅆㆎ? 곶 됴?코? 여름? 하?ㄴㆍ니?뿌리 깊은 나무는 바람에 흔들리지 않으므로 꽃이 찬란 ... 로 흘러갑니다제13장말ㅆㆍㅁㆍㄹ ㅅㆍㄹㅸㆍ리 하ㄷㆎ 天命을 疑心ㅎㆍ실ㅆㆎ ㅺㅜ므로 뵈아시니말씀을 아뢸 사람이 많지만 천명을 의심하시므로 꿈으로 재촉하시니놀애ㄹㆍㄹ 브르리 하ㄷㆎ 天命
    시험자료 | 3페이지 | 1,500원 | 등록일 2022.06.25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4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51 오후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