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희의 서한문의 초록과 주해에 힘을 썼다. 이황의 학문이 50세 이후부터 원숙하기 시작하여, 53세에 정지운의 「천명도설」을 개정한 후에 후서를 썼으며, 『연평답문』을 교정한 후 ... 후어를 지었다. 54세에 노수신의 「숙흥야매잠주」에 관해 논술하였고, 56세에 향약을 기초하였으며, 57세에 『역학계몽전의(易學啓蒙傳疑)』를 완성하였다. 58세에 『주자서절요
되었다.2작품 개관 및 특징은 필자 김옥균의 제1차 일본방문(1881.12)에서부터 갑신정변이 실패했을 때까지의 약 3년간에 걸친 시기의 조선을 둘러싼 대내외적인 정치 역학관계를 다루 ... 하여 한 이 문집이 간행되어 그의 이기설(理氣說)이 세상에 알려지자 전국 유림(儒林)에 적지 않은 파문을 던졌다. 1890년에 《답문유편》 15권이 편집되어, 뒤에 담대헌에서 활자본 ... 다.3문학사적 의의철학사상은 그밖에 제자들과의 문답을 기록한 《답문유편 答問類編》에도 잘 드러나 있다. 우주의 구성으로부터 인간본질의 해명, 사단칠정과 인심도심(人心道心) 등 심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