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 성립하는 공법상의 임치관계로 보는 견해이며, 셋은 供託에는 공법적인 면과 사법적인 면이 다 있으며, 전자를 규율하는 것이 供託법이고 후자를 규율하는 것이 민법 제 487조 이하 ... 과는 구별된다.·실체법과 절차법은 구별되어 있으므로, 절차법인 소송법상의 소권이 消滅하여도 그것이 실체법상의 債權의 消滅에 당연히 영향을 주지는 않는다.(예 : 자력구제)·債權 ... 은 辨濟자가 辨濟의 목적물을 債權자를 위하여 供託소에 맡김으로써 채무를 면하는 辨濟供託 을 말한다. 辨濟供託의 실익은 채무자가 債權자의 협력 없이 채무를 면하는 데 있다. 즉 辨濟
과 구별의 실익이 없다.2 공법적 계약설(미노베)임용행위는 계약과 같은 공법상의 계약3 노동 계약설(일원론자)※ 임용행위는 요식행위가 아니므로 임용장의 교부행위는 공증행위로서 구별해야 한다. ... 을 행정규칙.b. 통첩과의 구별- 훈령은 명령, 통첩은 통지의 수단으로 보고, 훈령은 하명의 성질을 가지고 통첩은 일반 사실의 보고라고 보는 견해도 있다. 그러나 통첩은 하명의 성질 ... 도 가지고, 하명도 통첩을 통해 이루어지므로 구별할 필요가 없다.2 근거 및 효력훈령은 행정기관 상호간에서만 효력을 가지므로 대사인적 효력은 없다. 또한 특별한 법적근거를 필요로 하지
성이계약 : 민법에 규정된 14가지 종류의 계약2 비전형계약 : 전형계약 이외의 계약2. 구별기준 : 민법전의 규정여부3. 실익1 당사자의사표시가 불명확한 때 전형계약으로 보충2 ... 채무가 서로 대가적 의미를 갖지 않는 계약2. 구별기준 : 어떤 대가적 의미의 법률적 채무를 부담하는지 여부3. 실익 : 동시이행항변권(536), 위험부담(쌍무계약에서만)-(537 ... 적 불평등과 사회적 형평에 반하는 결과를 가져오게 되어 계약자유의 제한이 요구되었다.2. 계약체결의 자유에 대한 제한1 승낙의 자유에 대한 제한ⅰ) 공법적 제한 : 정당한 이유없이
주체에 제한 또는 의무를 부과한 반사적 효과로서의 이익에 불과한 것을 반사적 이익이라 한다.Ⅲ.공권과 반사적 이익의 구별실익행정소송에 관련된 원고적격을 인정하는 범위에 의하 ... 반사적 이익은 공법관계에서만 특유한 것이 아니고 사법관계에서도 있을 수 있다. 행정법관계에 있어서는 행정법규를 집행하는 경우에 그로 인하여 개인이 어떠한 종류의 생활이익을 받 ... 公權과 反射的 利益Ⅰ.공권의 개념행정법관계(공법관계)에 있어서 직접 자기를 위하여 일정한 이익을 주장할 수 있는 법률상 힘을 가진 것을 의미하며 반사적 이익(국가 또는 개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