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책 제목을 보고 처음엔 많이 생소했다. 唐詩에 대한 지식도 짧기는 매한가지지만, 그보다도 韓國 漢詩에 대한 이해가 전혀 없었기 때문이었고, 그런 상황에서 한국의 한시와 당시 ... 를 비교한다는 것이 많이 어렵고 생소하게 느껴졌던 것이다. 漢字로 쓰여졌다는 것 외에 무슨 관련이 있을까...라는 짧은 생각을 가졌던 것이 사실이다. 하지만 책을 읽으며 -아니
나타난 것은 틀림없다.또한 四七論,人物性同異의 이론서계의 전개로 모두 인존精神을 지향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이상에서 韓國性理學의 特徵을 여섯가지 면에서 살펴보았다.이것이 모두 ... 한다. 그러나 그 精神만은 살아있는데 그 것은 죽은 유교의 永安室에 보존되어 있다. 이 永安室이란, 이미지를 포함하고 있는 미디어인 漢字의 體系라고 생각한다.'라고 말하고 있다. 이
하는 데 중요한 學問的 土臺가 되어 왔다. 특히 思想的으로 三國統一의 歷史的 背景에서 큰 몫을 차지하는 花郞道는 오늘날 韓國人의 意識 低邊에 깔려있는 民族性을 이해하는 대표적 傳統思想 ... 그 時代 精神의 형성에 작용했음을 알 수 있다. 내물왕 시대에 신라가 漢字를 쓰기 시작한 것은 中國文化의 영향권에 들어감을 의미하고 儒敎 같은 中國人의 정신체계가 당시 화랑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