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통합검색(560)
  • 리포트(509)
  • 시험자료(27)
  • 방송통신대(17)
  • 논문(7)
판매자 표지는 다운로드시 포함되지 않습니다.

"ㅿ>ㅇ" 검색결과 141-160 / 560건

  • 중세국어 월인석보 석보상절 권1 10a, 10b 완벽 형태소 분석
    )젛·다(동사): 두려워하다a.보ㅿㆍㅂ고 저ㅎㆍ니 b.江南ㅇㆍㄹ 저ㅎㆍ샤 c.구데 딜가 저헤니 甁(명사)+ㄱ(사잇소리)+솝(명사)+애(처격)+ㄱㆍ초-(어간)+아(양태부동사어미)+ㄷ ... )좇·다(동사): 좇다(從)a.ㅳㅡ돌 조ㅼㅣ 마라 b.구쳐 뵈ㅿㆍㅂ고 조ㅉㆍㅸㅏ 오니 c.法輪에 조ㅉㆍ와 두루펴 俱궁 夷잉 니 ㄹㆍ ·샤 ·ㄷㆎ 大·땡 闕·ㅋㅝㅭ ·에 보 ·내 ㅿ ... )+샤(주체존대)+ㄷㆎ(의존명사)+大闕(명사)+에(처격)+보내(어간)+ㅿㆍㅂ(객체존대)+아(양태부동사어미)니ㄹㆍ다(동사): 이르다(謂)a.니ㄹㆍ거나 쓰거나 b.니ㄹㆍ거ㄴㆍㄹ 드
    리포트 | 4페이지 | 2,000원 | 등록일 2013.12.26
  • 국어의 소실문자 PPT
    국어의 소실문자 ㆁ /ㆆ/ㆀ/ㆅ/ㅸ/ㅿ/ㆍ1.ㆁ (옛이응)1)음가 ⇒ [ŋ], 현대어의 받침 소리 'ㅇ' 2)쓰임 정음 창제시 어중(語中)의 초성과 종성에 쓰임오직 아음의 'ㆁ ... →한(歎) 모음+ㅿ+모음 →(村) 'ㅁ'+ㅿ+모음 →몸(躬) 모음+ㅿ+ㅸ →리(哂) 모음+ㅿ+모음 →나 일훔 모음+ㅿ+ㅇ →애(剪) (사잇소리-용비어천가에만 나타나 ... 고 이후엔 'ㅅ'으로 통일 ) ㉡간혹 어두에 포기된 일도 있었는데 주로 의성어 및 중국어 차용어에서 나타남 예) (水流貌), (褥) 등6. ㅿ(반치음)3)변천 (ㅅ ㅿ ㅇ) ㉠ㅿ
    리포트 | 14페이지 | 1,000원 | 등록일 2012.06.12 | 수정일 2016.08.11
  • 제7장 후기 중세국어
    되기는 했으나 아직 분명히 존속『석봉천자문』에는 ‘ㅿ’이 없으며, 『소학언해』에는 ‘??(心)’과 ‘?’에만 남아있음 → 16세기 후반의 의고적 문체(3) ‘ㅇ’종류① 소극적 기능의 ‘ㅇ ... )‘ㅿ’과 모음 사이 (예) ?애(剪)변화: 소실‘ㅿㅇ’: 16세기에 이미 완성, ‘ㅿ’이 두번째 음절의 초성으로 변화예: ?애>??(剪), ?위>거?(?蚓)- ㄹㅇ: 명사는 16세기菩薩( ... 어 및 중국어 차용어)에 보이기도 함 ->(예) ??, ?? ?변화① 후대적 ‘ㅿ’의 변화: 'ㅿ'>'ㅅ‘13세기 이후 s>z의 변화로 출현‘두?’를 제외한 ‘한?’, ‘한
    리포트 | 17페이지 | 2,500원 | 등록일 2013.06.19 | 수정일 2020.05.13
  • 학교문법과 문법교육 09 중세국어문법 탐구문제 해설
    글자인 ‘ㄱ, ㄴ, ㅁ, ㅅ, ㅇ’의 글자를 만들었다.② 가획의 원리 : 나머지 글자는 소리의 세기에 따라서 기본 글자에 가획(加劃)함으로써 만들었다. 예를 들어서 설음 글자인 ... , , , , , , , , , , ,삼자 중성 글자,3. 훈민정음 종성 표기법에 대해 설명해 보자.15세기 국어의 종성에서의 표기법은 ‘8종성법’이다. /ㄱ, ㅇ, ㄷ, ㄴ, ㅂ, ㅁ, ㅅ, ㄹ/의 소리만 발음될 수 ... 있었고, 종성을 적을 때도 ‘ㄱ, ㅇ, ㄷ, ㄴ, ㅂ, ㅁ, ㅅ, ㄹ’의 여덟 글자만 쓸 수 있게 하였다. 여기에서 현대국어와 비교하여 특이한 것은 ‘ㅅ’과 'ㄷ'의 발음이 구별
    시험자료 | 4페이지 | 2,000원 | 등록일 2014.09.21
  • 맞춤법의 역사적 변천
    , ㅿ, ◇, ㅱ, ㅸ, ㆄ, ㅹ를 되살려 쓰는 일의 타당성 여부, 세 번째, 초성 여섯 자를 ㄲ, ㄸ, ㅃ, ㅆ, ㅉ, ㆅ과 같이 각자병서하는 것, 네 번째, 중성 중 ... 다. 셋째, 받침을 ㄱ, ㄴ, ㄹ, ㅁ, ㅂ, ㅅ, ㅇ, ㄺ, ㄻ, ㄼ의 10개로 정하였다. 넷째, 좌견일점의 장음을 표시하였다. ‘·고’와 같이 표시하여 장음을 나타내었다. 또한 규정
    리포트 | 5페이지 | 2,000원 | 등록일 2018.11.20
  • 15세기국어의 표기법 연구
    15세기국어의 표기법 연구목 차Ⅰ. 서론Ⅱ. 본론1. 유성자음의 분철표기2. 母音間에서 ‘ㄹㄹ’과 ‘ㄹㅇ’표기3. 관형사형 어미 ‘-ㄹ’ 표기4. 사이시옷 표기5. 된소리 표기Ⅲ ... 은 음절과 음절이 연결될 때 일어나는 언어 현상에 대한 표기법은 없었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우리는 음절과 음절 연결에서 나타나는 유성자음 분절표기, 모음간 ‘ㄹㄹ’과 ‘ㄹㅇ ... 하기 시작한 것으로 파악된다. 「月印千江之曲」에서는 유성자음 ‘ㄴ,ㄹ,ㅁ,ㅿ’ 등이 명사의 종성일 때 분철표기 되었다. 이러한 표기는 「龍飛御天歌」를 제외한 정음 초기 문헌
    리포트 | 9페이지 | 1,500원 | 등록일 2013.01.10 | 수정일 2016.08.02
  • 판매자 표지 자료 표지
    [언어의이해 C형] 한글의 창제에 대해 간략히 기술하시오
    되어 만들어졌다. 처음 한글 낱자는 자음 17자와 모음 11자로 총 28가지였다. 하지만 오늘날 쓰이는 한글은 모두 24자로서 자음 ‘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ㅈ ... 는데, 닿소리 ㅿ(반시옷), ㆁ(옛이응), ㆆ(여린히읗)과 홀소리 ㆍ(아래아)의 네 글자이다. 따라서 본론에서는 한글의 창제에 대해 간략히 기술해 보겠다.Ⅱ. 본론1. 한글이란한글 ... 당시에는 모든 음절은 초성, 중성, 종성을 다 갖추어 표기하는 것이 원칙이었으나, ‘ㅇ’의 경우 종성에서는 음가 없는 ‘ㅇ’이 표기되지 않더라도 음절을 이룰 수 있다고 하여, 초성
    방송통신대 | 9페이지 | 3,500원 | 등록일 2015.09.06
  • (해례본을 통해 본) 훈민정음 제자 원리
    欲ㅇ閭ㄹ穰ㅿ全淸戌ㅅ全濁邪ㅆ그런데, 위 표는 아래의 중국 36자모표와 상당히 닮아있다.강신항(2011, p.94)중국 36자모표七音牙音舌頭音舌上音脣重音脣輕音齒頭音正齒音喉音半舌半齒全淸見 ... 서 ①과 ④가 서로 대칭을 이루고 있어, 훈민정음 창제자들이 이러한 문자의 대립도 세밀하게 배려했을 것이라는 점을 알 수 있다.「ㅁ」, 「∧」, 「ㅇ」은 각각의 조음 기관인 입술 모양 ... .1.2. 가획과 이체『훈민정음 해례본』 「제자해」ㅋ比ㄱ?聲出稍??故加?。ㄴ而ㄷ?ㄷ而ㅌ?ㅁ而ㅂ?ㅂ而ㅍ?ㅅ而ㅈ?ㅈ而ㅊ?ㅇ而ㆆ?ㆆ而ㅎ?其因聲加?之義皆同?ㅋ은 ㄱ에 비해 소리가 조금 거세
    리포트 | 12페이지 | 2,400원 | 등록일 2015.07.22
  • 국어사 개설 요약 (표로 정리)
    되어 출현)소실문자‘ㅇ’▶‘ㅇ’-음운론적 조건:y, ㄹ, 또는 ‘ㅿ’과 모음 사이-변천과정:ㅇ’ 은 ‘y, ㄹ, ㅿ’과 모음사이에서 ‘ㄱ’이 〔g〕>〔r〕>〔?〕>탈락(용례) ?개>?애 ... -소실과정가.ㅿㅇ > ㅿ ?-15세기 ‘?애,?위->16c ??, 거?-‘ㅇ’소실로 ‘ㅿ’이 제 2음절 두음이 됨 : ㅿ ?나.몰애 , 놀애 ->16c 변화가 없음 ->용언활용 ... , ->〔z〕로 실현가. 15세기 중엽:∵15세기 중엽, 음절말에 9자음 대립:ㄱ,ㅇ,ㄷ,ㄴ,ㅂ,ㅁ,ㅅ,ㅿ.ㄹ’(용례)15세기 잇?니, 이틋날, 믯믯하다.나. 16세기∵모음간 ‘ㅿ
    리포트 | 10페이지 | 3,000원 | 등록일 2011.11.29
  • 훈민정음 제자해와 초성해의 역학사상
    기형이제지) - 발음기관상형 관련(반설음ㄹ 반치음ㅿ 역상설치지형이기체무가획지의언)훈민정음 초성해의 제자해에선 반설음인 ㄹ과 반치음인 ㅿ은 단순히 설음의 기본자인 ㄴ과 치음의 기본 ... 자인 ㅅ에 획을 더하여 만들어진 것이 아니라고 말하고 있다. 그래서 만약 훈민정음 자음 제자 목록이 있었더라면 그 중에 ‘ㄹ’과 ‘ㅿ’이 들어있지 않았을 것이라는 견해의 근거가 되 ... 에서도 ㄹ은 반설음에 속하고 ㅿ은 반치음에 속한다. 때문에 그 기본자에서부터 가획을 거쳐 만들어진 것이라고 생각하기 쉽지만 실제로는 ‘ㄴ?ㄷ?ㄹ’과 ‘ㅅ?ㅿ’의 가획의 순서를 가정해볼
    리포트 | 8페이지 | 2,000원 | 등록일 2013.01.11 | 수정일 2016.07.25
  • 표준중세국어문법론 - 제6장 체언과 조사 중 체언파트
    ㅎㆍ나ㅎㆍㄹ(ㅎㆍ나ㅎㅇㆍㄹ) 주어시든 (석보상절 권6, 22장)② 六邪ㄴㆍㄴ 外道ㅇㆎ 스승 여스시라(여슷이라) (석보상절 권6 26장)③ 如來ㅅ? 像 닐구블(닐굽을) ㅁㆎㅇㄱㆍㅿ ... 이 니르고져 ㅎㅗㅭ 배 이셔도 (훈민정음언해, 2장)나. 國ㅇㆍㄴ 나라히라(나라ㅎ이라) (훈민정음언해, 1장)(1가)의 百姓은 ‘므스기’의 ‘므슥’을 채울 수 있고, (1나)의 나라ㅎ ... 始祖ㅣ 憬興에 사ㄹㆍ샤다. 漢水 北에 累仁開國ㅎㆍ샤라. 녜 丙寅年에 이셔 昭憲王后ㅣ 榮養ㅇㆍㄹ ㅽㆍㄹ리 ㅂㆍ려시ㄴㆍㄹ(2가)의 中國은 나라 이름, (2나)의 憬興은 땅 이름, (2다
    리포트 | 13페이지 | 1,000원 | 등록일 2014.04.30 | 수정일 2015.10.10
  • 국어사적 사건
    (세조)2.규칙적 모음조화3.종성부용초성, 8종성 가족용4.어두자음군(ㅂ,ㅅㅄ 계)조선후기임진왜란실용적인 변화1.ㅿ,ㅇ, 방점의 소멸2. 된소리가 ㅅ하나로 통일3.음운의 간이화 현상
    리포트 | 4페이지 | 1,000원 | 등록일 2014.12.05
  • 두보의 생애
    구성궁 발표 과제 제출용1. 두보의 생애2. 두시언해가 편찬된 계기3. 구성궁에서 초간본과 중간본이 다른 점(1) ‘ㅿ’과 ‘ㅇ’의 폐기(2) 분철, 중철 표기의 확대(3) 격 ... 었는데, 그것이 17세기 초반부터 일반화 되면서 초간본 두시언해의 ‘ㅿ’이 기계적으로 ‘ㅇ’으로 대체되는 모습을 보였다.아ㅿㆍ라ㅎㆍ - (아ㅇㆍ라ㅎㆍ)중간본에서는 ‘ㆁ(옛이응)’도 완전히 ... ) ‘ㅿ’과 ‘ㆁ’의 폐기15세기 문헌의 방점 표기는 매우 정연하였으나 16세기 후반으로 올수록 방점 표기가 점차 문란해져 16세기 후반의 일부 문헌에서 방점을 찍지 않게 되
    리포트 | 5페이지 | 2,000원 | 등록일 2012.10.07
  • A+)음운변동
    )에서 모든 자음이 ㄱ, ㄴ, ㄷ, ㄹ, ㅁ, ㅂ, ㅇ 중 하나로 소리나는 현상이다.①홀받침의 음절 끝소리 규칙 적용 : 이 현상의 본질은 어떤 음소가 음절 끝소리 자리라는 음성 ... 의 존재를 없애버리게 되어 언어의 본질에 어긋난다.③ '「ㅅ,ㅂ」 벗어난 풀이씨'에서 그 기본 형태를 「ㅿ,ㅸ」와 같은 가상적인 음소로 정 한다면 국어의 음운 목록에 없는 음소이
    리포트 | 10페이지 | 1,000원 | 등록일 2018.06.12 | 수정일 2018.06.16
  • 훈민정음 창제의 원리(PPT)
    , ㅌ / ㅂ , ㅍ , ㅁ / ㅈ , ㅊ , ㅅ / ㆆ , ㅎ , ㅇ / ㄹ , ㅿ (17 자 ) 모음 : ㆍ , ㅡ , ㅣ / ㅗ , ㅏ , ㅜ , ㅓ / ㅛ , ㅑ , ㅠ
    리포트 | 12페이지 | 6,000원 | 등록일 2014.08.05
  • 세종대왕
    ( 없어진 것 ) ㅿ ( 반치음 ) ㆁ ( 옛이응 ) ㆆ ( 된이응 ) ㆍ ( 아래아 ) 현대 글자 자음 ( 14 ): ㄱ , ㄴ , ㄷ , ㄹ , ㅁ , ㅂ , ㅅ , ㅇ , ㅈ ... 유래 : 1. 한글은 = 훈민정음 해례본 1.1 훈민정음 : 1446 년에 반포되었음 1.2 훈민정음 뜻 : 백성을 가르치는 바른 소리라는 뜻한글 옛날 글자 ( 없어진 것 ) ㅿ ... ( 반치음 ) ㆁ ( 옛이응 ) ㆆ ( 된이응 ) ㆍ ( 아래아 ) 현대 글자 자음 ( 14 ): ㄱ , ㄴ , ㄷ , ㄹ , ㅁ , ㅂ , ㅅ , ㅇ , ㅈ , ㅊ , ㅋ , ㅌ
    리포트 | 11페이지 | 2,000원 | 등록일 2012.06.28
  • 음운의 변천사 요약 정리
    음. ‘ㅿ’은 아무리늦잡아도 16세기 전반까지 존속5) ㅇ(1) 문자 그대로 ‘零’이라는 것이 종래의 통념이었으나, 15세기 문헌을 면밀히 검토해보면 두종류의 ‘ㅇ’이 존재 ... : 멀위 : 15세기의 ?애, ?위 → 16세기 ??, 거?ㅇ의 소실로 ‘ㅿ’이 제2음절의 두음이 되었음을 보여준다.② ‘ㄹㅇ’ : 몰애(沙), 놀애( ) 등 명사에서는 16세기 말 ... ㅍㅃㅸㅁㄷㅌㄸㅅㅆㅿ ㄴㄹㅈㅊㅉㄱㅋㄲㆁㅎㆅ22개ㆍ된소리 계열생김중세후기국어(15~16세기)ㅂㅍㅸㅃㅁㄷㅌㄸㅅㅆㅿ ㄴㄹㅈㅊㅉㄱㅋㄲㆁㅎㆅㅇ23개ㆍ초성 유성마찰음(ㅇ)생김ㆍ 어두자음군ㆍ ‘ㅂ’계
    리포트 | 7페이지 | 1,500원 | 등록일 2011.10.05
  • 고대국어, 전기중세국어, 근대국어의 비교
    으로 추정된다.‘ㅇ’는 문자 그대로 ‘零’이라는 것이 종래의 통념이었다. 15c 을 보면 ‘ㅇ’은 두 종류로 나뉘는데 와 이 있다. ‘ㅇ’의 소실은 ‘ㅿ, ㅇ’로부터. 15c의 ‘?애 ... -’ 등은 근대국어에 와서 ‘ㅿ’과 ‘ㅇ’의 소실로 상당한 변화를 입게 된다. 그리하여 ‘그?-/??-’는 ‘그으-/?으-’가 되어 모음어미 ‘-어’와 통합하면 ‘?어’로 나타났 ... 자료 ‘ㄴ’ 또는 ‘ㅁ’과 모음 사이, 모음과 ‘ㅸ’ 또는 ‘ㅇ’ 사이에 국한되었다. ‘i’ 모음 앞에서 ㅿ의 소실이 시작되었으며 15세기 후반에서 16세기 전반에 걸쳐 소실
    리포트 | 25페이지 | 3,000원 | 등록일 2011.07.10 | 수정일 2023.02.07
  • 훈민정음 소개 - 한글날의 발전사
    (侵)침ㅎ(虛)허ㅿ(穰)양ㅇ(業)업ㄴ(那)나ㅅ(戍)ㅇ(欲)욕2. 중성(음가는 해당 한자의 중성임)ㆍ(呑)탄ㅗ(洪)홍ㅛ(欲)욕ㅡ()ㅏ(覃)담ㅑ(穰)양ㅣ(侵)침ㅜ(君)군ㅠ(戍)수ㅓ(業 ... 만 씀을 원칙으로 한다.ㄱ ㅇ ㄷ ㄴ ㅂ ㅁ ㅅ ㄹ다만 ‘ㅿ’자모는 소리에 따라 쓸 수 있다.제8항 평성, 거성, 상성은 방점으로 구별한다. 거성은 일점, 상성은 이점을 글자 왼쪽 ... )업ㅕ()[붙임] 위의 자모로써 적을 수 없는 소리는 두 개나 그 이상의 자모를 결합하여 쓴다.1) 순경음은 순음 아리에 ‘ㅇ'자모를 연서한 ‘ㅸ’ 자모로 적는다.2) 전청이 엉기
    리포트 | 4페이지 | 1,000원 | 등록일 2013.01.11 | 수정일 2016.07.25
  • 훈민정음 창제과정과 제작원리
    모양 하였다. 이렇게 가획으로 만든 글자는 각각 표와 같다. 그리고 ㅇ, ㄹ, ㅿ 세 글자는 가획의 의미가 없는 이체자이다. 이렇게 하여 초성자 열일곱 자를 만들었다. 요약하면 발음 ... ’이 된다고 하였다. 다른 종성들도 마찬가지이다. 그리고 종성자는 ‘ㄱ,ㅇ,ㄷ,ㄴ,ㅂ,ㅁ,ㅅㄹ’ 여덟 자로 족하다.? 합자해앞서나온 초중종성이 합해져야 하나의 글자를 이룰 수 있
    리포트 | 9페이지 | 1,500원 | 등록일 2016.08.03 | 수정일 2020.03.24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10 오후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