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 이를 무렵 성리학계(이론탐구분야)는 '인물성동이론'을 둘러싸고 격론을 벌이게 된다. 이것은 원래 청풍의 황강(충북 제천 한수)에 살던 권상하(1641-1721)의 문인들 사이 ... '라고 해석함. 그후 율곡이 사단 칠정 어느 경우에나 모두 '기발이승일도(기가 발함에 이가 타는 것)'이라고 해석함. 이 해석들의 타당성 여부를 검토하는 내용이 곧 사칠론의 핵심. 여기 ... 의식 위에서 일어난 복상 문제 즉 예송). 따라서 예송형식의 당쟁은 바로 성리학의 명분론적 사고가 정치현실에 투영된 합리적 형식적 생활양식일 뿐이다.7. 인성·물성의 동이론18세기
가 주정주의의 경향이 강한 것이다. 사단칠정논변이라든지 인물성동이론 같이 한 문제를 두고 1 백 년 2 백 년의 세월을 두고 겨루는 전통은 한국성리학의 주지주의적 특징을 잘 드러내 ... 적 탐구가 본격화되었다. 이황(李滉)·이이(李珥)가 대표적 학자였다. 우리나라 성리학의 특징은 정주학 절대우위, 주지주의적 경향, 예(禮) 절대시의 풍토, 명분론적 사고 팽배, 주리 ... 론(主理論;悟性論)적 보수성, 인존정신 등이다.성리학의 정의성리학은 그 발흥 시기와 대표적인 학자 및 그 경향에 따라 명칭이 다양하다. 송학, 정주학, 이학, 도학의 한 계통
사건을 기술한 기사문이지만 설리적인 내용이 풍부하게 들어있다. 이조 후기 사상사의 중심 명제로 대두하는 인물성동이론(人物性同異論)과 연결되는 주제로 인성과 물성이 같다(도가), 다르 ... 고 풍자하기도 하였고, 임진난에 관련한 이야기도 있으며 특이한 행적이나 성격을 가진 인물에 대해 이야기하기도 하였다.(1)당시의 사회상을 보여주고 풍자하는 이야기먼저 당시의 사회상 ... 들이 굶주리자 양민들이 서로 모여 도적이 되는 사실을 이야기하고 있다.(3)특이한 인물에 관한 이야기여기에 속하는 인물은 신분의 고하와 관계없이 대개 그 행적이나 성격이 특이하거나 뛰어나
을 파악하는 의의를 지닐 뿐 아니라 주자 철학의 한 특성까지 파악하게 되는 계기가 될 것이다.II. 본 론1. 조선조 후기 성리학의 인물성동이론의 발단과 논쟁의 배경1) 논쟁의 배경 ... 과 성이 서로 관련이 없는 것도 아니다.2. 인물성 동론과 이론에 대한 논변1) 인물성동론 (외암중심)① 성개념의 다의성외암은 인성과 물성이 같다는 입장에서, 그리고 남당은 인성과 물 ... 다.2) 인물성이론 (남당 중심)이에 대해 남당은 生之謂性장에 대한 주자의 해석 즉 '理로써 말하면 仁義禮知, 稟賦를 어찌 물이 온전히 얻은 바이겠는가'라는 근거로 성 3층설을 주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