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아리니 옛 백성과 새로 백성이 된 자들을 어루만져 기르는데 오히려 왕도의 교화가 두루 미치지 못하고 은혜를 베품이 아직 없다고 하겠다.”(마운령비 및 황초령비)군왕의 통치원리 ... (桓雄)을 세상에 내려보낼 때 ‘인간을 널리 이롭게 할 만한 곳’을 골랐다는 단군신화 속에서 홍익인간은 천명이요 왕도의 과제로 삼을 수 있다. 『광개토대왕비』에서도 추모왕이 임종 ... 에 세자 유류왕을 돌아보고 “도로써 다르리라.”하고 고명(顧命)한 데서 말한 도(道)도 왕도로 이해된다. 진흥왕의 순수비에서는 교화의 내용을 더욱 구체적으로 제시해준다.“순정한 풍속
마운령비북한산비와 1982년에 발견된 충원비 등이 있다. 모두 북조풍의 해서로 고졸(古拙) 청경(淸勁)하여 신라적인 특색을 잘 나타내고 있다.한국의 서체는 중국 서체의 영향을 많이 ... 여 새로운 것을 만들었는데 이를 진전(秦篆) 또는 소전(小篆)이라고 한다.진한에는 직선(直線)위주의 예체가 이루어져 상용문자로서 사용되었고 점차 발전하여 후한에는 완성된 예서의 많은 비 ... (碑)를 남겨 후세의 모범이 되었다. 이 시대의 대표적인 작품으로는 장천비예기비조전비공우비 등이 있다. 또한 후한에 와서 채윤에 의하여 종이가 발명(105)되어 문자의 표현이 자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