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五臺)·적상(赤裳) 등의 사고(史庫) 장서까지 관할하였다. 1910년 국권피탈로 그 이름이 없어지고, 소장되어 있던 도서는 한때 이왕직(李王職)에 도서실을 두어 보관하고 있 ... 있다. 규장각 전시실은 한국문화를 소개하는 산 교육의 장으로 활용되고 있다. 규장각에서는 1954년 10월, 개교 8주년 기념, 한국 고도서 전시회를 개최한 이래, 소장자료
》은 편찬되는 대로 활자로 출판하여 여러 본을 각각의 사고에 나누어 보관하였다. 일제 때 오대산 사고의 실록은 일본으로 반출되어 관동 대지진으로 거의 대부분 타서 없어지고, 현재 27책 ... 만 남아 있다. 태백산본 1,181책, 정족산본 848책은 현재 서울대학교 규장각 도서관에 소장되어 오고 있으며, 적상산본은 구황궁 장서각에 보관되었다가 1950년 한국전쟁 당시
양중회수 산출기본주기를 기준→산적도 작성양중회수공기(일)4.양중Cycle time 계산 : 1일 양중 가능 회수 산출5.검토⑴양중기 설치 대수 산정 : 산적도에서 구한 최대 양중 ... 하였다.2양중기의 선택시 공기단축을 위하여 조립해체가 쉽고 시간이 절약되는 양중기를 선택하여야하며, 특히 해체시 안전사고의 발생이 크므로 유의 해야한다.양중기의 분류1크레인 crane ... 을기계상하수평등으로 작업이 가능하여 구축한 재료를 적상(吊上)하여 조립하는 등 중량물의 荷役用에 쓰이고 있다.붐의 길이는 10∼60m 상당까지, 卷上능력 5∼30t에 이르고 卷上높