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 조선 유학자들은 중국의 주자가 1183년 중국 숭안현 무이산계곡 승경인 무이구곡에 건립한 무이정사가 최고의 이상향이었다. 그들은 주자처럼 은둔하는 행동을 미덕으로 생각 ... 했다. 그래서 서원을 조영하거나 은둔의 별서를 건립할 때 주자의 무이구곡을 모방하려 하였고, 그를 흠모하여 조영 속에 상징화하였다. 서원이나 별서의 조원은 자연주의 바탕 위에 이루어졌으며 ... 한 형태를 취하고 있던 간에 무의식 형이상학, 초자연, 초현실 등의 영역과 같은 비감각적인 영역이다. 상징은 구체적으로 세 개의 영역을 가지고 있다. 그 『첫째가 우주적인 영역
적 배경은 역시 도가에서 말하는 은둔과 은일사상이라고 할수 있으며,작정의 모티브는 성리학자들의 이상이었던 무이구곡에서 그 운류를 찾을 수 있다.소쇄원은 비탈면을 깎아 건축부지 ... 다.이 바위의 바닥에는 물이 원을 그리며 돌아 흘러 폭포로 떨어지도록 곡수거가 파여 있다.그리고 정자 앞에는 작은 지당이 있어 계류를 끌어 들이도록 하였다.옥류천 공간은 어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