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회의 부족■ 釜山이라는 공간적 문제-‘영화의 바다’ 지역 특성을 살린 영화제 상징화에 성공- 도시 전체가 바다로 펼쳐진 개방적 공간- 영화의 발상지로서의 ‘부산’의 의미- 영화 ... 침체로 인한 재정 지원 불안- 경제 침체로 인한 영화산업 위축■ 브랜드의 형성 전단계- KOREA 브랜드, BUSAN 브랜드 취약- 세계적 인지도 부족- 부산국제영화제 브랜드의 미
에서 거리가 21리이다."라고 하여 산 모양이 가마꼴과 같아 부산(釜山)이라고 하였다는 부산이라는 이름이 나오고, 그후 이를 그대로 인용하여 부산이라고 기록하고 있다.즉,『동래부지 ... 으로부터 357년 전인 1643년(인조 21년)에 통신사 종사관으로 일본에 건너간 신유의 『해사록』에 실려 있는「등부산시(登釜山詩)」에 "산 모양이 되도록 하여 가마와 같고 성문이 해수 ... 에 나오는 산은 증산을 말하는 것으로 보인다. 또 18세기 중엽에 우리나라 사람이 그린「부산왜관도」를 보면 이 증산을 점초(点抄)하여「부산고기(釜山古基)」라고 기록되어 있다. 이외
, 영화산업 관심자 대폭 증가-매니아에 대한 긍적적 인식. 개봉관의 개봉작 선정의 편향성-상업성 중시 영화 편중-작가성 중시 작품 관람 기회의 부족. 釜山이라는 공간적 문제- 영화 ... 의 형성 전단계-KOREA 브랜드, BUSAN 브랜드 취약-세계적 인지도 부족-부산국제영화제 브랜드의 미확립. 한국 영화 산업의 불안정성-한국 영화 발전의 짧은 역사-영화 인프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