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 잡종성(Hybridity) 개념을 제기한 호미 바바(Homi K. Bhaba)를 꼽을 수 있다. 두 사람 모두 영국의 식민 지배를 오랫동안 겪었던 인도 출신이다.먼저 스피박의 경우 ... 을 지적하였다. 그는 이러한 상황에서 침묵하고 있는 그들의 목소리를 복원하는 것이 탈식민주의 지식인의 역할이라고 주장하였다.이에 비해 호미 바바는 식민지 문화에서 발견되는 주변부의 경험
가 제국주의의 세계지배라는 왜곡된 외적 질서와 어떻게 관련되어 있는가를 밝힘으로써 제 3세계적 인식의 역사적 정당성을 확인해 주었다.3. 호미 바바(Homi Bhabha)싸이드의 작업 ... 이 서구의 동양에 대한 지식체계가 제국주의에 어떻게 기여했는가를 밝혀내었다면 바바는 그러한 서양의 지식체계 내에서 피식민지인이 제국주의체제에 대하여 어떤 교란과 저항을 하고 있 ... 체제 내로 끌어들일 수 없다는 사실을 여러 가지의 식민담론을 분석함으로써 밝혀내고 있다. 이러한 점에서 바바의 양가성 이론은 바로 이러한 일방적인 방향으로의 힘의 이동이라는 싸이드
이론가들은 제국 구성을 향한 이행을 나타낸다.탈식민주의 연구들은 광범위하고 다양한 담론 집단을 포괄하지만, 책에서는 호미 바바의 연구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그 이유는 그의 작업 ... 이 탈근대주의 담론들과 탈 식민주의 담론들 간의 연속성을 보여주는 가장 분명하고 가장 명료한 실례를 제시하기 때문이라 한다.바바의 연구에 따르면, 차이와 잡종성(인종)에 대한 긍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