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자이기 때문에 군주에 대한 교육은 군주가 되기 이전부터 중요시되었다. 왕위에 오르기 전인 東宮시에는 서연을 통해서, 군주가 된 이후에는 경연을 통해서 학문을 하였다. 조광조의 至治 ... 되었다. 즉 心學이 중시되어 誠意?正心이 가장 중요한 기준으로 내세워 지면서 요순의 심법이 강조되었다.이러한 흐름 속에서 尤庵은 經筵에서 『心經』의 강의를 가장 중요시 하면서 이
제도를 도입하였으나, 무신정권 때 폐지되었고, 원 간섭기에는 서연(書筵)으로 격하되어 명맥을 유지하였으나 간헐적으로만 시행되었다. 조선 시대에 이르러 이 제도는 비약적으로 발전 ... 하여 '경연 정치'가 나타났으며, 경연은 가장 중요한 정치 협의 기구가 되었다.경연의 교재는 4서 5경과 역사 및 성리학 서적을 일정한 순서에 따라 강의하였다. 4서 5경의 경우 ... 에는 주석집을 정독하였고, 역사서는 통독하는 것이 원칙이었다. 일정은 매일 아침에 조강을 실시하는 것이 원칙이었으며, 주강과 석강을 포함하여 세 번 강의하는 경우도 많았다.조선 시대
숙종 이전까지 약 200여년간 존속된 것으로 추정된다.(6)종학학식12개조1. 종친은 매일 해가 뜨면 모여 신시에 마치고, 출석을 살펴서 10일에 1차로 알린다.1. 강의 북소리 ... ), 판임관 시종관을 두었다.1903년(광무 7)에는 일강관과 부첨사를 없애고 칙임관과 주임관의 서연관(書筵官) 각 1명을 두었고, 1905년 황태자시강원으로 되었다가 1907년 ... 존치되어 있었으나, 세종(世宗)이 즉위하자 세종 2년(1420)에 집현전을 확대하여 학자의 양성, 학문연구기관의 기능을 하게 하였다. 이 집현전의 업무 중 중요한 것은 경연과 서연
국왕왕세자로 책봉되었다. 이해 문종이 왕세자를 위하여 처음으로 서연을 열고 사(師)·빈(賓)들과 상견례를 행할 때, 좌빈객 이개(李塏)와 우사경 유성원(柳誠源)에게 왕세자의 지도 ... 은 지난날 집현전에서 세종으로부터 보호를 부탁받았으므로 이들이 측근에서 협찬하였다.이해 윤9월, 저녁 강의에서 《논어》를 강론할 때 왕이 ‘사무사(思無邪)’라는 문구의 뜻을 묻 ... 이 정밀, 심오하여 경연에 강의할 때마다 자신의 배움에 깨달은 바가 많았으므로, 특별히 통정대부에 가자시켜 임명하였던 것이다. 이해 고려의 개국공신 배현경(裵玄慶), 홍유(洪儒
에 설치한 학문 연구기관.14.경연(經筵) 군주에게 유교의 경서와 역사를 가르치던 교육제도15.서연(書筵) 왕세자를 위한 교육제도16.사가독서(賜暇讀書) 조선시대 재능이 특출한 학자 ... 부제학 설순등이 왕명에 따라 조선과 중국의 서적에서 군신·부자·부부 등 3강의 모범이 될 만한 충신·효자·열녀를 각각 35명씩 모두 105명을 뽑아 그 행적을 그림과 글로 칭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