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그리議政大臣)도 군사기밀·군무를 알지 못하는 폐단이 생겨, 행정 체계가 무너진다는 비판이 일어 폐지론이 대두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1592년(선조 25) 임진왜 란이 일어나 국가 ... 과 적개심이 더욱 높아졌다. 특히 지배층의 숭명사상은 대단히 커져서 이를 재조지은(再造至恩)이라 했으며, 이후 이는 정묘호란(丁卯胡亂)· 병자호란(丙子胡亂)의 계기가 되었다. 또
라고 부탁했었다. 한명기씨가 쓴 광해군 이란 책은 약간은 자랑스런(?) 내 기억에 먹칠을 했다. 역사에 대한 나의 무지와 편견에 내 자신이 너무나 부끄러웠고, 우리 나라의 교육제도를 비판 ... 었음을 깨달았다. 학생들끼리 그러한 감정을 서로 이야기하며 각자의 의견을 토론하는 자리가 있었으면 하고 생각했다. 예전에 어느 책에서 우리 나라의 토론 문화를 비판한 것을 본적 ... 흔들리게 되고 결국 열강의 논리를 따른다고 한다. 마치 400여년 전 명의 원군 요청에 재조지은(再造之恩) 의 명분만을 내세워 출병을 주장하였을 뿐 아무 대책이 없던 사림